학술논문
중,고등학교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모형개발
이용수 24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Pop Music Ensemble Program for the Club Activities and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Second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은주(Eun Joo Yang) 강민선(Min Sun Kang) 정승일(Seung Il J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37권 제0호, 113~1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계발활동 및 방과후학교에 적용 가능한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러 악기의 개별 지도 및 합주 지도가 함께 이루어지는 대중음악 합주 수업의 이상적인 모델로 팀티칭 방법을 사용하였다. 1회 2차시로 구성된 수업의 1차시에는 전공 악기별 교사가 악기 별로 소수의 학생들을 지도한다. 2차시에는 리더를 맡은 한명의 주임교사와 나머지 보조 교사들이 합주 수업을 지도하도록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pular music ensemble program applicable to middle and high school club activity class and their after-school activities. A team teaching may well be a proper pedagogic for individualized teaching of various instruments as well as for ensemble. The popular music ensemble program is designed as a double-structured teaching program. During the primary program,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instrument teaches a small group of students about the instrument, and during the secondary program,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a ensemble program with their own instruments. Here, a teacher in charge of the session and other assistant teachers should guide the students in a team-teaching wa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아노 교수학 전공 선택요인 분석과 졸업 후 진로 조사
- 중,고등학교 대중음악 합주 프로그램모형개발
- 유아음악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아츠 프로펠을 적용한 초등음악 창작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을 위한 아카펠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인지적 도제이론을 활용한 음악개념학습이 음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부르는 노래의 현상학적 연구
- 교사용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 라이겐의 유아교육학적 의미
-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음악교육의 위기
- 코다이 합창어법과 연계된 헝가리 음악교과서 내용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