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이용수 39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운종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26권 제4호, 79~9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은 현재를 포함한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활동이며, 시대를 막론하고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학생을 그 사회에 적합하고 꼭 필요한 인재로 길러내는 것이다. 사회가 급속히 변하고 있는 지금, 교원은 미래사회의 변화를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관점에서 수용하고, 어떻게 미래교육에 임해야 할지에 관하여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한다. 교직관은 교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인식의 틀과 교원의 교직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을 의미한다. 그동안 교직관은 일반적으로 성직관, 노동직관, 전문직관의 세 가지 유형에다가 공공 봉사직을 포함하는 수준에서 논의되어 왔으나, 미래교육의 특성과 미래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어 보인다. 미래교육은 학습자의 능력과 여건에 맞는 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전인적인 발달을 추구하고, 미래사회에 유용하고 적합한 구성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발전과 변화를 주도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미래교육을 주도하기 위하여 교원은 기본적인 자질과 능력에 관한 전문성 외에 헌신과 노력을 기반으로 하는 봉사성을 함께 갖추는 것이 기대된다. 이러한 특성은 교육내용과 교수방법에 대한 전문성과 학습자 중심의 봉사적 실천을 보다 강조하는 발전된 교직관으로서 전문봉사직관의 정립이 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약
I. 서론
II. 미래교육의 특징과 교원의 역할
III. 종래의 교직관의 유형
IV. 전문봉사직의 가능성 검토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숙형공립고의 학생모집단위 적정모형 탐색
- 수석교사제 시범운영의 실태분석과 대안 탐색 :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 교사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사평가 준거의 탐색
- 게임이론에 기초한 체벌 최소화 방법에 관한 연구
-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 웹기반 협동학습 전략이 예비교사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 호주 초등교사양성과정의 교육실습 현황과 시사점 - 퀸즐랜드 주(州) 그리피스대학교 초등 교육학사 학위과정을 중심으로 -
-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티칭의 효과와 운영 전략 탐색
- 중등예비교사가 지각하는 칭찬유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