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달라이 라마의 철학이 행복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진영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48호, 77~10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세계적인 불교지도자 달라이 라마는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종교를 넘어선
‘세속윤리’를 주장한다. 그는 세속윤리를 통해 나의 행복과 타인의 행복 간의 불가
분의 연결성, 타인의 행복에 대한 진정한 배려라는 내적 가치를 교육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여기에는 자비라는 따뜻한 마음과 분별력이라는 이성적인 실천을 통해
창조적이고 행복한 삶을 성취할 수 있는 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달라이 라마는 비
종교적 영성의 대표적인 자비가 마음의 부정적 요소를 제거하는 방법과 이를 통찰
하는 분별력을 종합한 마음의 과학을 제시한다. 이러한 세속윤리는 인격의 부정적
요소를 직시하고 자신의 긍정적인 직관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최종적인 깨달음
을 획득하는 지식과 윤리의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달라이 라마는 이러한 세속윤리
의 구조를 교육에 적용해 현대의 모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만 진정한 행복
에 이른다고 말한다. 그는 도덕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실천을 통해 세상에
이타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해야만 행복할 수 있다는 자신의 철학을 교육에 적용시
켜 세계가 지속적인 행복을 이루기를 희망하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기
II. 세속윤리와 행복철학
III. 비종교적 영성과 자비의 본질
IV. 행복의 철학과 교육
V. 나가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메논』 77b-78c에서의 욕구와 좋음
- 달라이 라마의 철학이 행복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
- 쇼펜하우어에서 삶의 긍정과 부정으로서의 역설적 행복
- ‘용서’ 개념에 대한 철학상담적 접근 - 치유의 행복학을 위한 영적 실천의 모델 제시 -
- 무지로 인한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평가와 인식적 덕
- 현존재의 ‘존재해야 함’에 대하여 - 『존재와 시간』에서 ‘일상적인 본래성’의 가능성 -
- 헤겔의 ‘예술의 종말’과 ‘현실’로서의 이념
- ‘치유의 행복학’: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 - 철학교육과 함께 하는 철학집단상담 -
- 공감의 빛과 그늘
- 마르크스의 『헤겔 국법론 비판』 - 국가와 시민사회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무성유정론(無性有情論)의 쟁점과 그 철학적 함축 - 원측(圓測)의 이해에 근거하여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