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론肇論』 「물불천론物不遷論」에 나타나는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적 논의 성격
이용수 78
- 영문명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저자명
- 허인섭
- 간행물 정보
- 『철학논집』제32호, 149~18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0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승조의 조론 물불천론 에 보이는 설일체유부적 논의의 기원
을 추적 분석하는 글이다. 일반적으로 승조는 쿠마라지바의 중관철학을 중국에 뿌
리내리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의 글 조론의 물불천론
은 그 논의 방식이 중론의 저자 나가르주나가 극복하고자 했던 설일체유부의 논의
방식을 재현하고 있다는 의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 글은 역사적으로 이러한 승
조의 물불천론 논의방식 출현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이는 세 가지 사유양태
를 제시하고 분석해 보았다. 그 세 가지는 초기 중국불교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중
앙아시아 설일체유부의 이론과 위진시대 현학의 유무 논쟁 그리고 승조의 불완전한
중론 이해 가능성이다. 승조는 물불천론 에서 설일체유부가 사태를 시공간적으로
무한 분할하여 고립시켜 그렇게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한 현상을 왕필이 본무(本無)
개념을 적용 소극적, 부정적, 정적으로 파악한 세계의 본체(本體)와 동일시하여 그
부동성(不動性, 物不遷)을 더욱 강하게 정립시키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곽상의
독화론에서는 보이는 차별적 현상의 개별 고립화 경향에 영향을 받아 설일체유부의
현상의 단자화(單子化) 설명방식을 쉽게 수용했을 가능성도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
서 보면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오독(誤讀)을 일으킨 중론의 난해성을 승조가
온전히 극복하여 이해했을 것으로 전제하기는 매우 어렵다.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승조 이전 설일체유부 이론의 중국 유입 정황 및 번역 문헌
3. 4세기 말 번역된 설일체유부 문헌 중 물불천론 관련 사례 문장 분석
4. 위진(魏晉) 시대 유·무(有·無) 논쟁(論爭)의 철학적 특성
5. 『물불천론』과 관련하여 본 『중론』의 철학적 목표 이해
6. 『물불천론』 분석: 승조의 고립적 존재규정 방식의 연원과 내적 의미 추적
7.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철학분야 NEW
- 하타요가 (Haṭhayoga)의 ‘나디 정화법’ (nāḍiśodhana) 연구
- 마음챙김 요가의 신경과학적 메커니즘 - 구조·기능·생리적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37) 「요가편」(Yogakaṇḍa) 연구 - 제V장의 번역과 역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