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챙김 요가의 신경과학적 메커니즘 - 구조·기능·생리적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용수  0

영문명
Neuroscientific Mechanisms of Mindfulness Yoga : A Systematic Review of Structural, Functional, and Physiological Changes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김아윤(Ahyoon Kim) 원희욱(Hee-wook Weon)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34호, 47~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요가가 뇌 구조, 기능, 및 신경생리학적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KCI, RISS, DBpia에서 검색하였다. 포함 기준은 마음챙김 요가 또는 요가 요소가 포함된 마음챙김 기반 중재(MBSR 등)를적용하고, 구조적 뇌영상(sMRI), 기능적 뇌영상(fMRI, EEG), 또는 신경생리학적 지표(BDNF, 코르티솔,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를 최소 하나 이상측정한 연구였다. 최종적으로 33편의 문헌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내러티브 합성(Narrative Synthesis)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요가는 전전두엽 피질, 해마, 뇌섬엽 등 인지· 정서 조절과 관련된 뇌 영역의 구조적 변화를 촉진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기본모드 네트워크(DMN) 억제, 집행제어 네트워크(ECN) 강화, 살리언스 네트워크(SN; 예: ACC) 활성 증가와 같은 기능적 연결성 조절이 보고되었다. 더불어 BDNF·세로토닌·도파민은 증가하고, 코르티솔 및 IL-6·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음챙김 요가는 구조·기능·생리적 차원에서 신경가소성을 촉진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정신건강 증진과 임상적 보조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근거 기반 중재임을 시사한다. 그러나연구 설계의 이질성과 신경영상 해석상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향후대규모 무작위 대조군 연구와 장기 추적 연구, 그리고 문화적 맥락을반영한 후속 검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ffects of mindfulness yoga on brain structure, function, and neurophysiological indicators.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24 was searched in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KCI, RISS, and DBpia.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tudies that applied mindfulness yoga or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e.g., MBSR) incorporating yoga components, and assessed at least one outcome measure among structural neuroimaging (sMRI), functional neuroimaging (fMRI, EEG), or neurophysiological markers (e.g., BDNF, cortisol, inflammatory cytokines). A total of 33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synthesized using a narrative synthesis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indfulness yoga tended to 74 요가학연구 제34호(2025. 9) promote structural changes in brain regions related to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including the prefrontal cortex, hippocampus, and insula. Functional modulation was also observed: decreased activity in the default mode network (DMN); enhanced connectivity in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ECN); and increased activation of the salience network (SN; e.g., ACC). In addition, increases in BDNF, serotonin, and dopamine, along with decreases in cortisol and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6 and TNF-α, were reported. In conclusion, mindfulness yoga may promote neuroplasticity across structural, functional, and physiological domains,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adjunctive clinical application. However, methodological heterogeneity and limitations in interpreting neuroimaging findings persist, highlighting the need for large-sca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longitudinal follow-ups, and culturally sensitive studies to validate its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and 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윤(Ahyoon Kim),원희욱(Hee-wook Weon). (2025).마음챙김 요가의 신경과학적 메커니즘 - 구조·기능·생리적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요가학연구, (), 47-74

MLA

김아윤(Ahyoon Kim),원희욱(Hee-wook Weon). "마음챙김 요가의 신경과학적 메커니즘 - 구조·기능·생리적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요가학연구, (2025): 4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