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37) 「요가편」(Yogakaṇḍa) 연구 - 제V장의 번역과 역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Chapter Vth of the Vasitāsāṣṭhasaṃhitā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박영길(Younggil Park) 정해경(Haekyung Jung)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34호, 75~117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VS)의 「요가편」(Yogakaṇḍa)은 성 자 바시쉬타(Vasiṣṭha)가 아들 샥띠(Śakti)에게 요가를 가르치는 내용으 로 구성된 중세의 하타요가 문헌이다. 이 문헌은 전체 VI장으로 구성되 었으며 제I장에서 VI장까지는 야마, 니야마, 아사나, 호흡법, 감관의 철수, 응념, 선정, 삼매와 같은 팔지 요가의 여덟 요소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나디(nādī), 깐다(kanda), 짜끄라(cakra), 꾼달리니(kuṇḍalinī), 바유 (vāyu) 등 인체를 구성하는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 제V장은 전체 55송으로 ‘아뜨만의 한정화’, ‘사위설’, ‘윤회로 부터 의 해탈’을 설명한 후 죽음의 징조와 길흉의 행위를 설명한다. 이 중에 서 ‘아뜨만의 한정화’, ‘사위설’, ‘윤회로 부터의 해탈’은 베단따 철학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고 그 이후는 죽음의 징조와 길흉의 행위를 다루는 데 이것은 ‘죽음에 대한 예측’과 관련된다. 『바시쉬타상히따』 제V장이 ‘죽음에 대한 예측’을 다루었던 것은 그 다음의 제VI장에서 ‘죽음을 정복하는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비적 설명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V장의 주제와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샥띠의 첫 번째 질문(제2송)은 ‘아뜨만이 속성이 없고, 청정하며, 영 원한 지복이고 늙지도 죽지도 않는 것이라면 윤회는 누가 하는 것인가’ 에 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바시쉬타의 답변은 ‘아뜨만은 오직 하나일 뿐이지만 마치 물에 비친 달처럼 아뜨만은 모든 존재들 속에 깃들어 있고 영원히 해탈된 존재’이고 ‘신체 등에 제한되고 미혹된 존재인 개아(jīva)’가 윤회하고 선악의 과보를 받는다는 것이다. 바쉬스타는 사위설을 설명하는데 그 의도는 개아와 아뜨만의 관계를 사위설에 비 추어 설명하고자 했던 것으로 파악되는데 마지막의 제사위는 ‘삶이라 는 존재적 상황’(bhavabhāvata) 자체를 초월한 상태이다. 샥띠의 두 번째 질문(제2송)은 ‘육신이 소멸되면 제한된 자아가 어디 에 머무는 가’에 대한 것이다. 바시쉬타의 답변은 ‘신체가 소멸할 때 (kṣetra-nāśe) 미세한 원인신 속에(sūkṣme liṅgaśarīre) 머물고 바로 이 원인 신(liṅga-deha)이 선업(puṇya)과 악업(pāpa)에 따라 다른(anya) 몸(deha)을 취하고 업이 소멸된 이후에 해탈한다는 것’이다. 샥띠의 세 번째 요청(제3송)은 ‘죽음의 시간’을 알려달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바쉬스타는 ‘신체가 소멸되는 시간’(죽을 시간)은 ‘죽음의 시 간과 관련된 증표’에 의해 알려진다고 말한 후 ‘죽음과 관련된 내적 (abhyantara), 외적(bāhya) 증상(cihna)을 이해해서 알맞게 행동해야 하고 또 모든 것을 자신의 능력에 맞게 해야 한다’고 말한다. 계속해서 바쉬스타는 ‘신체를 유지하고 있는 바라문’이 해야 할 것을 ‘외적인 징후와 내적인 징후로 죽을 때를 아는 것’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는 ‘바유의 흐름에 지배되는 내적인 징조’를 언급한 후 숨을 계산하는 것으로도 시간(=죽음)을 알 수 있다고 말하고서 27송 이하에서 그 단위 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바시쉬타는, ‘과거와 현재, 미래에서 인간의 몸으로 받 는 길흉(śubha-aśugha)이라는 결과가 이들 라쉬(rāśi, 12궁) 속에 있는 행성 (graha)의 움직임으로 파악해야 할 것’을 말하고 12궁과 행성의 흐름에 따른 길흉을 설명하고 있다. 제V장에서 설명된 내용은 요가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는 것은 아니 지만 그 제VI장에서 ‘죽음을 정복하는 기법’을 위한 예비적 설명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는 제VI장을 다루기에 앞서 먼저 제V장의 내용 을 고찰했다.

영문 초록

The Yogakaṇḍa of Vasiṣṭhasaṃhitā is a medieval Haṭhayoga text in the form of teachings delivered by the sage Vasiṣṭha to his son Śakti. The work consists of six chapters, and from Chapter I through Chapter VI it provides explanations of the eight limbs of yoga—Yama, Niyama, Āsana, Prāṇāyāma, Pratyāhara, Dhāraṇā, Dhyāna and Samādhi—together with detailed descriptions of bodily constituents such as Nādī, Kanda, Cakra, Kuṇḍalinī, and Vāyu. The Chapter V, consisting of 55 verses in total, first explains “the limitation of the Ātman,” “the doctrine of categories,” and “liberation from saṃsāra,” and then goes on to describe the signs of death and auspicious or inauspicious actions. Among these, the discussions on “the limitation of the Ātman,” “the doctrine of categories,” and “liberation from saṃsāra” reflect the standpoint of Vedānta philosophy, while the subsequent section dealing with the signs of death and auspicious or inauspicious actions relates to “the prediction of death.” It can be inferred that Chapter V of the Vasiṣṭhasaṃhitā addresses “the prediction of death” as a preliminary exposition for Chapter VI, which explains “the methods of conquering death.” The theme and main content of Chapter V can be outlined as follows. Śakti’s first question is: “If the Ātman is without attributes, pure, eternal bliss, and neither ages nor dies, then who undergoes saṃsāra?” Vasiṣṭha’s reply is that “the Ātman is only one, yet—like the moon reflected in water—it abides within all beings and is eternally liberated; it is rather the individual self (jīva), deluded and limited by the body and the like, that transmigrates and receives the consequences of good and evil deeds.” Śakti’s second question (verse 2) concerns “where the limited self resides when the physical body is destroyed.” Vasiṣṭha’s reply is that “when the body is destroyed (kṣetra-nāśe), it resides in the subtle causal body (sūkṣma liṅgaśarīra), and this very causal body (liṅga-deha), depending on one's merits (puṇya) and demerits (pāpa), assumes another (anya) body (deha). After the exhaustion of karma, liberation is attained.” Śakti’s third request (verse 3) asks to be told the “time of death.” In response, Vasiṣṭha explains that “the time when the body is destroyed” (the time of death) can be known through “signs related to death,” and further advises that one should understand the internal (abhyantara) and external (bāhya) signs (cihna) associated with death, act appropriately based on them, and handle everything according to one's own capacity. Vasiṣṭha continues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physical body,” and specifies that what a Brahmin responsible for sustaining the body should do is to “know the time of death through external and internal signs.” He then refers to “internal signs governed by the flow of the vāyu” and adds that the time of death can also be determined by counting the breaths. In verses 4 to 27, he goes on to explain the units for this calculation. Finally, Vasiṣṭha states that “the auspicious and inauspicious results (śubha–aśubha) experienced in the human body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movements of the planets (graha) within the rāśis (the twelve zodiac signs),” and he goes on to explain the auspiciousness and inauspiciousnes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welve zodiac signs and the planets. Finally, Vasiṣṭha states that “the auspicious and inauspicious results (śubha–aśubha) experienced in the human body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the movements of the planets (graha) within the rāśis (the twelve zodiac signs),” and he explains how auspiciousness and inauspiciousness aris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welve zodiac sig

목차

Ⅰ. 머리말
Ⅱ. 성립 시기, 구성 및 주요 내용
Ⅲ. 번역과 역주
Ⅳ. 맺음말
약호 및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길(Younggil Park),정해경(Haekyung Jung). (2025).『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37) 「요가편」(Yogakaṇḍa) 연구 - 제V장의 번역과 역주를 중심으로. 요가학연구, (), 75-117

MLA

박영길(Younggil Park),정해경(Haekyung Jung). "『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37) 「요가편」(Yogakaṇḍa) 연구 - 제V장의 번역과 역주를 중심으로." 요가학연구, (2025): 75-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