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이용수 246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광희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17권 제4호, 1405~14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성취기준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다룰 내용과 목표 등을 제시하고, 성취수준을 포괄적으로 진술하여 각종 평가의 근거가 되는 등 과학교육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서술어를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영역에 관한 성취기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물리영역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4학년군, 5~6학년군, 중학교 1~3학년군, 고등학교 과학, 물리I, 물리 II의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학습 내용에 관한 227개의 분석 대상 서술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동사는 ‘이해한다’로 총 116회(51%)였다. 이어서 ‘안다’가 69회(30%) 사용되었는데, 이 둘을 합치면 전체의 81%에 해당하였다. 이해한다와 안다의 사용빈도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났다. 초등학교 3~4학년 군에서 20개 서술어 중 11회, 5~6학년 군에서 21개 서술어 중 8회가 이해한다 또는 안다였다. 다시 말해 초등학교 4개 학년의 물리영역에서는 이 두 동사 외에 다른 동사로 진술된 서술어가 54%로 동사가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와 안다의 비율이 모두 80% 이상이었다. 중학교 1~3학년 군에서는 총 45개 중 41개(91%)가 이해한다나 안다였고, 고등학교 과학은 29 개 중 27개(93%), 물리I은 64 개중 59개(92%), 물리 II는 48개 중 39 개(81%)의 빈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는 안다가 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다른 동사들도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안다(58%)가,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65%)가 다른 동사에 비해 특히 빈도가 높았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후속 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연구 대상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정신건강을 위한 교육용 진도북춤 모형 탐색
-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 시각-통사 텍스트 포맷팅을 활용한 학습이 중학생의 영어듣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Mathematics classes in Taiwan, Singapore, and the United States compared to Korea based on TIMSS 2007
- Extensive Reading for Korean EFL Learners:Motivation as an Investment in Cultural Capital
- 과학 학습 부진아 지도로서의 중재반응모형(RTI)의 적용 효과
- 체육수업에서의 감정적 협박에 관한 사례연구
- 질문생성교재 · 의미연결성 · 선행지식이 고등학생의 설명적 교재의 중심내용 이해에 미치는 효과
- Analysis of Pattern Generalization Problem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
- 일반 화학 실험에서의 글쓰기 지향 마인드맵 적용 효과
-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 목공예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기술에 대한 태도와 융합인재소양에 미치는 영향
- 생명공학 SSI 수업에서 나타난 영재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의 유형 분석
- EFL 학습자의 자기평가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자기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겪는 과정 지식 관련 어려움 분석
- 교사의 평가 경험을 통한 초등 영어 성취도 평가의 방향 탐색
- 청소년기에 요구되는 역량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교수전략 탐색
- 예측하기 전략훈련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읽기 이해와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아동의 스포츠 참여에 따른 정서 및 행복감
- 생태놀이를 활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역사과 창의·인성 교육 사례 연구
- 예비 생활체육 지도자의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 OECD PISA 수학 소양 평가의 특징 및 문항 특성 분석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