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이용수  246

영문명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조광희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17권 제4호, 1405~142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명시되어 있는 성취기준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 다룰 내용과 목표 등을 제시하고, 성취수준을 포괄적으로 진술하여 각종 평가의 근거가 되는 등 과학교육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서의 서술어를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영역에 관한 성취기준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중에서 물리영역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3~4학년군, 5~6학년군, 중학교 1~3학년군, 고등학교 과학, 물리I, 물리 II의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학습 내용에 관한 227개의 분석 대상 서술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동사는 ‘이해한다’로 총 116회(51%)였다. 이어서 ‘안다’가 69회(30%) 사용되었는데, 이 둘을 합치면 전체의 81%에 해당하였다. 이해한다와 안다의 사용빈도는 학교급별로 차이가 났다. 초등학교 3~4학년 군에서 20개 서술어 중 11회, 5~6학년 군에서 21개 서술어 중 8회가 이해한다 또는 안다였다. 다시 말해 초등학교 4개 학년의 물리영역에서는 이 두 동사 외에 다른 동사로 진술된 서술어가 54%로 동사가 비교적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와 안다의 비율이 모두 80% 이상이었다. 중학교 1~3학년 군에서는 총 45개 중 41개(91%)가 이해한다나 안다였고, 고등학교 과학은 29 개 중 27개(93%), 물리I은 64 개중 59개(92%), 물리 II는 48개 중 39 개(81%)의 빈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는 안다가 2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지만 다른 동사들도 비교적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안다(58%)가,고등학교에서는 이해한다(65%)가 다른 동사에 비해 특히 빈도가 높았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후속 연구 및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 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연구 대상 및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광희. (2013).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학연구, 17 (4), 1405-1420

MLA

조광희.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학연구, 17.4(2013): 1405-14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