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책임감 모형(TPSR) 수업에 대한 GPAI 적용 사례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만의 최흥섭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14권 제4호, 715~7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적용 사례가 거의 없는 책임감 모형(TPSR) 수업에 GPAI를 적용한 연구
를 시도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TPSR 수업이 심동적 영역에 취약하지 않다는 구체적인 반론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TPSR 수업 17차시에
GPAI를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적 연구 방법인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자료 등이며, 수집된 자료를 전사, 주제별 약호화, 주제 생성의 단계를 거쳤다. 연구 결과,
먼저 GPAI 평가 안내 및 연습 과정에서 교사들은 현실성 부족과 타당한 평가라는 인식을, 학생들
은 골치 아픈 평가와 경기 안목 향상에 도움이 되는 평가라고 하였다. 둘째, GPAI 평가 요소 일치
도에서는 남녀 모두 의사결정, 기술실행, 보조하기 요소에서 75%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셋째, GPAI 평가 결과 결정지수 중 의사결정 요소는 남녀학생이 비슷하였고, 여학생은 기술실행
요소에서, 남학생은 보조하기 요소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게임 수행에서 남학생은 더 빨리 향
상되어 유지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꾸준히 향상되어 결승경기에서는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TPSR은 더 이상 정의적인 영역에 초점을 맞춘 모형이라는 인식과 심동적
영역에 취약한 모형이라는 비판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효율적인 GPAI 평가 적용을 위해서
는 여전히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기능중심 모형에서의 적용 효과 부진에 대한 원인 규명과
현장에의 일반화를 위한 연수 및 과학적인 기록과 정리를 위한 디지털 장비 보급 등의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