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에서의 학습효과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교수실재감의 예측관계 분석
이용수 112
- 영문명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명희 이정민 구진아 윤성혜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14권 제4호, 787~80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국어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으로 기존 문헌연
구에 기반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학습자특성 변인으로 교수실재감을 학습
과정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인천 소재 D 초등학교 5학년 3학급 87명을 대
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 및 성취도로 측정된
학습효과 모두를 예측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만을
예측하였다. 또한 교수실재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만족도를 예측할 때에
이들 관계를 매개하였으나, 성취도를 예측할 때에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지털교과서 활용에서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해서는 사전에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
능감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준비 전략의 실행이 바람직하며, 학생들이 인식하는 교수실
재감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므로 학습내용의 명료한 제시와 학습촉진 전략이 디지털교과서 안에 설
계를 통해 내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중 교사의 격려와 지원을 통해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만족도를 성취도에 연결시킬 수 있는 전략 역시 필요함
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