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의 통합교육과정 재정립 및 현장적용방안 연구
이용수 257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어린이교육협회
- 저자명
- 이영자 이정욱
- 간행물 정보
- 『어린이교육』제12호, 9~5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 사려 깊은 지도, 능동
적 학습, 반영적 전이(transfer), 권위적 평가 등 다섯 가지 교육적 실천이 고려되어야 한다
(Fogarty, 1995). 통합교육과정(integrated curriculum)은 여러 교과와 생활 영역이 의미있게
연결되어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된 내용 및 활동을 재구성한 교육
과정을 말한다(이영자, 2002).
Ingram(1979)은 교육과정 통합의 기능을 인식론적 기능, 심리학적 기능, 사회적 기능으
로 나누어 교육과정 통합의 필요와 정당성을 설명하고 있다. 인식론적 기능으로서는 지식
의 폭증현상에 대비하여 여러 다른 지식 영역들을 서로 관계시킬 필요와 학습의 목적 및 의
미 부여를 위해서 교육과정통합은 큰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학적 기능으로서는
학습을 용이하게 해주고 학습을 통한 인격발달을 돕는다는 점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사회
적 기능으로는 구성원 상호간의 긴밀한 인간적인 관계를 갖는 교실 분위기를 조성 할 수 있
다는 것, 다학문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사회문제를 다룰 수 있게 된다는 것, 그리고 유아교
육기관과 사회를 연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들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Ⅱ. 주제중심 통합적 유아교육과정구성
Ⅲ. 주제중심 통합적 유아교육과정 구성의 예
Ⅳ. 생활주제 중심의 유아 평가
참고 문헌
「부록 1」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 교육과정의 통합적 계획과 구성
- 최고 수준의 교사들을 유지하기 : 감소, 소진, 그리고 직무 환경
- 아버지와 남자 선생님 : 남자 아이들의 학습적인 발달과 비 학습적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들
- 고자질은 나쁜 말인가? : 놀이공간을 배회하는 어린이들을 돕는 방법
- 나에게 휴식을 주세요 : 휴식에 대한 논쟁
-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수학교육 : 계열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접근
- 언어 생활영역의 통합적 운영
- ‘일과 생각하기’에 유아 참여시키기
-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음 : 다문화 도서와 문해 방법을 통해 존중감 증진시키기
- 유아 시각 예술 교육과정 : 발달과 문화를 표현하기 위한 자유로운 공간인 마음의 팔렛트
-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교육 활동이 유아의 나눔에 대한 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생활주제와 연계한 유아전통문화교육의 연령별 활성화 방안
- 유아교육의 통합교육과정 재정립 및 현장적용방안 연구
- 가정과 연계한 컴퓨터 교육이 유아의 컴퓨터 사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