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8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정미경 김갑숙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9권 제3호, 133~1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시의 중학교 2학년 학생 18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이었다. 프로그램은 2012년 9월 4일부터 10월 25일까지 주 2회씩 총 12회기를 진행하
였다. 연구도구는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 검사지의 사회성 내용을 바탕으로
김화정(2002)이 수정, 보완한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검사시기(사전, 사후, 추후)와 집단(실
험, 통제)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성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영역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
에도 효과가 있었으나 자주성은 효과가 지속되지는 않았다. 둘째,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성의 변화양상에서는 초기의 방어적이고 소극적, 비협동적
인 태도를 벗어나 적극적인 자기개방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으며, 협동적이고 자주적인 태
도로 변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
로그램은 중학생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섬유 매체의 활용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사의 자의식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중년여성의 한국화 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예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심리극집단프로그램이 성매매경험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교육이 취학 전 아동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편부가정 아동의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효과
- 브레인댄스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자기 조절력과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국내 음악치료서비스 운영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한 조사연구
-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경도치매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례개념화 집단교육의 효과 분석
- 집단미술치료가 부적응 병사의 우울 및 불안감 감소와 적응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 기형도 시의 심상 시치료적 분석 및 활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