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여성의 우울유무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 그림의 반응 특성 차이연구
이용수 5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강수현 김갑숙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9권 제1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우울유무에 따라 좋아하는 날씨(Favorite Kind of Weather:
FKW) 그림의 반응 특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창원, 김해에
거주하는 20∼50대 기혼여성 164명이며, 2011년 11월에서 2012년 3월에 걸쳐 조사를 실시
하였다. 연구도구는 Beck의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와 FKW 그림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cross-tab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KW 그림 반응 특성의 형식요인 중 필압, 공간사용, 공간
이용도에서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우울집단이 비우울
집단에 비해 필압이 약하며, 공간을 많이 사용하고, 왼쪽 공간을 많이 이용하였다. 둘째,
FKW 그림 반응 특성의 내용요인 중 해, 먹구름, 비, 날씨의 움직임에서 비우울집단과 우
울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우울집단이 비우울집단에 비해 해를 적게 그리
고 먹구름과 비를 많이 그리고 날씨의 움직임이 많았다. 셋째, FKW 그림 반응 특성의 색
상요인 중 회색과 검정에서 비우울집단과 우울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집
단이 비우울집단에 비해 회색과 검정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FKW 그
림은 기혼여성의 우울을 예측하고 선별하는 도구로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치료에서 예술의 의미
- 색채심리의 유효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소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열형 성격장애 성인의 대인관계문제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교실 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에드바르드 뭉크의 자화상에 나타난 미술 치료적 의미 연구
- 비만 아동에 대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기혼여성의 우울유무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 그림의 반응 특성 차이연구
- 대처행동에 따른 음악활동 참여가 스트레스 감소와 이완상태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예술치료사들의 경험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