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열형 성격장애 성인의 대인관계문제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1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은림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9권 제1호, 69~9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인관계와 결혼만족도 문제를 갖고 있으며, MMPI-2와 DSM-Ⅳ-TR 판별에
의해 분열형 성격장애라고 판명된 성인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23회 미술치료 프로그
램의 계획.적용이 대인관계문제와 결혼생활 만족도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연구도구는 MMPI-2(김중술 등, 2004),
K-MSI(권정혜, 채규만, 2007), KIIP(김영환 등, 2002)이며, 분열형 성격장애 성인을 개별 미
술치료한 자료분석 방법은 대인관계문제검사(KIIP)와 결혼만족도검사(K-MSI)를 사전, 사후
로 실시하여 그 변화량을 양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증상차원들의 질적 변화 정도를 변
화과정 회기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대인관계문제 원형척도 프로파일에서는 과
순응 척도와 대인관계문제 척도 차이가 밝혀졌으며, 성격장애 척도에서는 사회적 인정욕구
가 사전과 사후점수 간에 차이가 남으로써 대인관계문제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결혼만
족도검사에서는 정서소통, 문제해결력, 공유시간, 배우자가족, 자녀불만 척도 등에서 사전과
사후점수 간에 차이가 남으로써 프로그램 중재 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회기 내 단계를
초기, 중기, 종결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초기단계에서는 신뢰감 형성이 이루어졌으며,
시간계열에 따른 피해사실 재현이 실시된 중기 초반부는 분열형 성격장애 증세노출과 자기
감정 인식, 중기 중반부는 자아실현 저해요인 인식, 중기후반부는 감정정화와 자기수용, 종
결단계에서는 증상극복과 관계회복과 자아통합 능력이 향상되어 회기 내 단계별 증상차원
변화는 회기 내 치료 목표에 부합되어 긍정적 효과가 나타남이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치료에서 예술의 의미
- 색채심리의 유효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소집단 미술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분열형 성격장애 성인의 대인관계문제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교실 예술활동 프로그램의 참여유형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에드바르드 뭉크의 자화상에 나타난 미술 치료적 의미 연구
- 비만 아동에 대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기혼여성의 우울유무에 따른 좋아하는 날씨(FKW) 그림의 반응 특성 차이연구
- 대처행동에 따른 음악활동 참여가 스트레스 감소와 이완상태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 집단미술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학교에 대한 예술치료사들의 경험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