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인들의 고용결과와 이해 : 개념적 틀과 주요 변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4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Song-Jae Jo Ph.D. CRC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24권 제1호, 35~5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Livneh(2001)의 장애 및 만성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 모델을 토대로 직업재활 서비스를 이수한 시각장애인들의 고용결과 이해에 있어 심리사회적 변인들과 환경적 변인들간의 연개가 갖는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시각장애의 고용결과에 관한 기존의 문헌 연구들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소비자 만족도, 실명의 수용, 잔존시력의 유무, 경제적 지원의 유무, 실명전 근로 경험과 같이 장애인 정책의 현주소와 서비스 전달체계상의 최근 경향 및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을 반영하는 5개의 다면적이고 광범위한 변인들이 검토될 것이다. 끝으로, Livneh(2001)의 장애 및 만성질환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 모델을 소개한 후 이 모델과 전술한 다섯가지 변인들과의 접목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Outcome Research Related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Sociodemographic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VR services
Constructs of Focus
Acceptance of Vision Loss
Degree of Functional Vision
Previous Work Experience
Conceptual Framework
Conclusion
Ren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