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학교 초등과정의 국악교육 실태 연구
이용수 15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 저자명
- 송용미 이해균
- 간행물 정보
- 『시각장애연구』제29권 제4호, 131~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 초등과정 정규 음악수업 중||| 국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국악교육의 지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교육 시설 및 여건의 실태에서 국악
교육의 경비는 대부분 학교에서 전액 지원하며||| 교육은 주로 음악실에서 장소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국악기는 대부분 학교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악교육 자료 및 기자재는 충분한 편이다. 국악교육 현장
에서 국악전문인력 초빙이 가장 시급하고 음악교사 대부분 국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국악
교육 내용과 방법의 실태에서 현재 음악교과서 외에는 거의 국악 관련 교재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국
악교육의 목적은 우리 전통문화의식 고찰이다. 가창영역 지도는 CD/인터넷 등 멀티미디어를 주로 활용하
고 있으며||| 가장 자신있는 지도 분야는 동요 및 민요 등 이다. 국악교육 내용 수집 방법은 인터넷을 활용이
많으며||| 교사의 교육계획 수립은 달성되고 있는 편이다. 학생은 국악수업을 대부분 이해하고 있으나 이해
도가 떨어지는 경우는 국악 기초 내용 부족이 원인이며||| 평가 방법은 학생의 평소 수업태도를 통한 수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 연구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