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ings” in the Hwangdi-Neijing : Realities in Plural Ontologies and Implications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and Innovation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김태우(Taew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4호,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discuss “things” in the Huangdi-Neijing. Here, “things” refers to the medical objects and realities described in the Neijing. It aims to engage with recent interest in ontology with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particularly drawing on anthropological discussions of multiple ontologies—to explore the “things” of the Neijing, and to clarify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medical practic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newly emerging clinical approaches.
Methods : In order to discuss “things” in the Neijing, this paper examines the chapters “Discourse on the Comprehension of Heaven’s Truth,” “Discourse on Regulating the Spirit in Accordance with the Qi,” and “Discourse on the Correspondence of Yin and Yang with the Image,” juxtaposing biomedical things and practices on its ontological premise.
Results & Conclusions : The “things” in biomedicine are identified and become the subject of medical practice through ways of thinking such as reductionism. In contrast, the “things” in the Neijing are not seen as isolated entities but are interconnected, with an emphasis on flow and continuity. This analogical understanding of existence in the Neijing is also reflected in its mode of descri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cademic disciplines, fields such as geoscience, thermodynamics, climatology, pharmacology, psychology, psychiatry, and diagnostics could all be discussed simultaneously within a single chapter of the Neijing, which is linked to the East Asian understanding of existence. Discussion on the ontological mode in the foundational texts is not only crucial for preventing students from falling into simplistic hierarchy between biomedicine and non-biomedicine, but also essential for making them aware of the specific ways in which Korean Medicine engages with its objects. Ontological understanding also plays a role in the emergence of new clinical practices in Korean Medicin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고찰: 『내경』이 다루는 “것들”과 한의학 교육 그리고 새로운 진료의 등장 방식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 『동의보감』 初稿本 주장에 대한 반론 - 筆寫本의 底本과 오류를 중심으로
- 『상한론(傷寒論)』 삼양명(三陽明)의 재해석 -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 원문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자오유주 침법 의서, 『동교침학원류』 연구
- 『素問·五臟生成』의 “人臥血歸於肝”에 대한 고찰 - 肝藏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의학 통합교육의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 고찰
- 상한잡본론 한법(汗法)과 다른 치법의 선후에 관한 연구 - 계림고본을 중심으로
- 산형과 본초의 효능에 대한 고찰 - 형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