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interpreting the Three Yangming of the Shanghanlun Based on the Texts of Jinguiyuhanjing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장우창(Woochang Ja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4호, 49~7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three Yangming, a key concept in the Shanghanlun suggested to explain the bianzhenglunzhi system of the Yangming disease pattern.
Methods : Texts of the Shanghanlun and the Jinguiyuhanj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expose the difference in editing intentions manifested in their description. Next, the descriptive errors in the Shanghanlun were revealed while menaing of the three Yangming within the Yangming disease pattern bianzhenglunzhi system was discussed in detail as the author's key description of the Yangming chapter in the Jinguiyuhanjing.
Results & Conclusion : The three Yangming of Zhangzhongjing was not only suggested as various causes to the formation of excessiveness in the stomach-intestines(胃家實) of the Yangming disease pattern, but as a threefold category of various Yangming disease patterns that ultimately develop into excessiveness in the stomach-intestines(胃家實) from entanglement of the exterior/interior and deficiency/excessiveness. In conclustion, the three Yangming is a key concept to understanding the bianzhenglunzhi system of the Yangming disease pattern. In understanding the accurate meaning of the three Yangming, we can understand why many cold patterns, deficiency and exterior patterns are included in the Yangming chapter alongside heat-excessive disease patterns that are purely interior conditions. Moreoever, the Yangming Wind Stroke and Yangming Cold Stroke are not irrelevent with the three Yangming, but a description of the Weiyang Yangming, one of the three Yangmings which is both deficient and excessive.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고찰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 『동의보감』 初稿本 주장에 대한 반론 - 筆寫本의 底本과 오류를 중심으로
- 『상한론(傷寒論)』 삼양명(三陽明)의 재해석 -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 원문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자오유주 침법 의서, 『동교침학원류』 연구
- 『素問·五臟生成』의 “人臥血歸於肝”에 대한 고찰 - 肝藏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의학 통합교육의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 고찰
- 상한잡본론 한법(汗法)과 다른 치법의 선후에 관한 연구 - 계림고본을 중심으로
- 산형과 본초의 효능에 대한 고찰 - 형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