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icacy of Umbelliferae Medicinal Herbs : Focusing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Jinhee Ahn Yousang Baik Jo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4호, 161~19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basis for a unique methodology of Korean Medicine which understands the effects of a medicinal herb through examining its morphology, through studying the relation between Umbelliferae medicinal herbs and their effects.
Methods : Materia medica texts throughout history, the Encyclopedia of Chinese Medicinal Herbs, and contemporary texts on botany were referenced to analyze the qi and flavor, effects, indications, pharmacological mechanism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12 Umbelliferae herbs. Through comparis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y and effects of Umbelliferae herbs were examined.
Results : In general, Umbelliferae herbs are pungent and warm, while some have moderate and slightly cold nature. Their main effect is ‘defeating wind’, sometimes accompanied by ‘scattering cold and eliminating dampness’ or eliminating ‘phlegm and stagnated blood’, and ‘clearing stagnation of qi and blood’. Main application is Wind patterns of exterior and interior, while they are widely applied in conditions of the head and face, chest, skin and extremities, where they function to elevate or disperse qi in the upper and middle body. Morphologically, they are characterized by compound umbels, hollow stems, pinnate leaves with serrated or deeply lobed margins, most of them aromatic. Suc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functions of elevating and dispersing qi. Leaves with lobed or serrated margins have strong dispersing tendencies, while wide leaves, thick stems, and robust flowers indicate supplementing abilities.
Conclusions : Common tendencies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Umbelliferae herbs could be verified. Such methodology based on analogy to grasp a medicinal's effects could be us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and to apply them.
영문 초록
목차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 『동의보감』 初稿本 주장에 대한 반론 - 筆寫本의 底本과 오류를 중심으로
- 『상한론(傷寒論)』 삼양명(三陽明)의 재해석 -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 원문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자오유주 침법 의서, 『동교침학원류』 연구
- 『素問·五臟生成』의 “人臥血歸於肝”에 대한 고찰 - 肝藏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의학 통합교육의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 고찰
- 상한잡본론 한법(汗法)과 다른 치법의 선후에 관한 연구 - 계림고본을 중심으로
- 산형과 본초의 효능에 대한 고찰 - 형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 時珍國醫國藥
- 한국생약학회지
- 中國中醫藥出版社
- 中醫古籍出版社
- 원광한의학
- 人民衛生出版社
- 華夏出版社
- 人民衛生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醫學與哲學
- 山西科學技術出版社
- 中國實驗方劑學雜誌
- 中國醫藥科技出版社
- 華夏出版社
- 山西科學技術出版社
- 人民衛生出版社
- 人民衛生出版社
- 浙江中醫藥大學學報
- 中國醫藥科技出版社
- 人民衛生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河南科學技術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安徽科學技術出版社
- 中國人民大學出版社
- 福建科學技術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學苑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山東中醫藥大學學報
- 약학회지
- 생약학회지
- 약학회지
- 人民衛生出版社
- 中國中醫藥出版社
- 上海科學技術出版社
- 中國實驗方劑學雜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