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atment Priority Among Sweating Therapy and Others in Zhongjing’s Eight Treatment Methods : Focusing on the Guilin Gubon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장은수(Eunsu Jang) 한우진(Woojin Han) 허원영(Wonyoung Heo)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8권 4호, 145~16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 Methods :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there is an order in the application of the eight therapeutic methods when clinical situations are complex and multiple methods are required. The aim was to clarify the relative position of sweating therapy by analyzing the passages in which sweating therapy is presented together with other treatment methods (vomiting, urinating, harmonizing, warming, strengthening, cooling, and defecating therapies). The text used were the Guilin Gubon of the Shanghan Zabinglun, reprinted in 2017 and the Song edition.
Results &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both sweating therapy and other methods were indicated, urinating, harmonizing, warming, and strengthening therapies may be applied before sweating therapy. In contrast, sweating therapy could precede cooling and defecating therap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weating therapy and harmonizing therapy, the order of treatment became clear in cases where diagnosis was confirmed. There were urgent cases where defecating therapy should precede sweating therapy. The order between sweating and vomiting therapies remained unclear. However,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methods, vomiting therapy was assumed to precede sweating therapy, particularly when ‘胸中實’ (fullness in the chest) was present. This study thus suggests priority between sweating therapy and each individual therapy.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overall sequence among the eight therapeutic methods described by Zhang Zhongjing(仲景八法).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본론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 『동의보감』 初稿本 주장에 대한 반론 - 筆寫本의 底本과 오류를 중심으로
- 『상한론(傷寒論)』 삼양명(三陽明)의 재해석 - 『금궤옥함경(金匱玉函經)』 원문을 중심으로
-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자오유주 침법 의서, 『동교침학원류』 연구
- 『素問·五臟生成』의 “人臥血歸於肝”에 대한 고찰 - 肝藏血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한의학 통합교육의 수업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 고찰
- 상한잡본론 한법(汗法)과 다른 치법의 선후에 관한 연구 - 계림고본을 중심으로
- 산형과 본초의 효능에 대한 고찰 - 형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4호 목차
- 『황제내경』이 다루는 “것들(things)” : 복수의 존재론적 지형에서의 물(物)들과 한의학 교육 및 혁신에의 함의
- 《灵枢》针灸临床应用小考 - 颈椎病治疗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