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Quantitative Situation Awareness Assess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ors Using Wearable Biosignal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강민기(Mingi Kang) 최민지(Minji Choi)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7호, 221~2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건설현장의 중장비 작업은 높은 재해 위험을 수반하며, 운전자의 올바른 상황인지(Situation Awareness, SA)는 사고 예방의 핵심 요인이다. 그러나 기존의 설문 기반 SA 평가는 주관성과 작업 간섭 등 여러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생체신호(EDA, BVP)를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작업자의 SA 수준을 정량적·비침습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건설현장에서 숙련된 굴착기 운전자 5명이 사전 정의된 7개의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각 작업에 SA 이벤트를 삽입하였다. 손목시계형 웨어러블 기기로 EDA, BVP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벤트 기준 10초의 반응라인에서 ΔAUC, ΔBVP, EDA latency 등의 지표를 산출하였다. 실험 종료 후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자기보고식 SART 설문을 통해 각 참가자의 작업별 SA 수준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생체신호는 Z-score 정규화를 거쳐 설문 점수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복잡하거나 인지 부하가 큰 작업 구간에서 ΔAUC의 상승과 ΔBVP의 감소가 동시에 관찰되어, 교감신경 각성이 강화되는 패턴이 확인되었다. 특히, 설문 점수와의 상관분석에서 ΔAUC는 ρ = 0.83 (p = 0.021), ΔBVP는 ρ = 0.95 (p = 0.001)로 유의한 정합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체신호 기반 지표가 SA 수준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기존 설문 기반 평가를 보완 또는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절차는 단일 웨어러블 기기만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작업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재현성이 높아 현장 적용에 유리하다. 나아가, 본 접근법은 정량적 SA 평가, 맞춤형 안전교육, 실시간 위험 모니터링 등 다양한 산업안전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Heavy equipment operation in construction sites involves high accident risks, and operators’ situation awareness (SA) is a key factor in prevention. However, existing survey-based SA evaluations have limitations such as subjectivity and task interference.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estimating SA levels quantitatively and non-invasively in real construction sites using wearable biosignals (EDA, BVP). Five skilled excavator operators performed seven predefined tasks, with SA events inserted into each task. Biosignals were collected via a wrist-worn device, and ΔAUC, ΔBVP, and EDA latency were calculated for 10-second windows after each event. After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ed SART questionnaires while reviewing recorded videos. The biosignals were Z-score normalized and analyzed for correlation with survey scores. In cognitively demanding tasks, increased ΔAUC and decreased ΔBVP were observed, indicating heightened sympathetic activa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ΔAUC (ρ = 0.83, p = 0.021), ΔBVP (ρ = 0.95, p = 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signal indicators are closely related to SA levels and may supplement or replace survey methods. The proposed approach is simple, reproducible, and minimally intrusive, and shows potential for safety education, real-time monitoring, and SA assess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시사점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사용자 요인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전보건관계자 중심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안전사고 심각도 예측 변수 탐색 - 경기도 자료를 중심으로
- 스마트 국방의 안전행동 동기 요인 분석과 조직문화 발전 전략
-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웨어러블 생체신호 기반 건설 중장비 운전자의 정량적 상황인지 평가 가능성 탐색
- 전문건설업 단위작업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확인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 및 인프라 토공·철근콘크리트 공종을 중심으로
- 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안전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안
- 도심지 모듈형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시나리오 평가와 안전관리 전략
- 산악철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궤도의 전단앵커 설계
- 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 전력산업 원청의 안전리더십이 협력사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QM 모형 기반 매개분석
- 음주운전 단속기준의 과학적 개선에 관한 연구 - 혈중알코올농도 분해율의 시간 및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 스토킹 가해자의 재범위험요인과 예측모형 - 가족지원 취약성과 행동 통제 결함을 중심으로
-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교량 인상 하중-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학업스트레스, 그릿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성 병역제도 연구 - 여성 징병제와 모병제의 비교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지하철 혼잡도를 고려한 콘크리트궤도의 탄성패드 스프링강성 평가
- 한부모 가구주의 고용 궤적이 청소년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우울과 자녀와의 대화 시간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