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Pediatric Hospital Nurs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미진(Mi Jin L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7호, 193~20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동병원은 발달적 특성과 보호자 협력으로 인해 복잡성이 높으며, 이러한 특성은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는 M시 소재 네 곳의 아동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2025년 3월 4일부터 3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되었다.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근무환경 평균은 2.94점, 안전문화 인식 평균은 3.14점, 안전간호활동 평균은 4.64점으로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은 모두 안전간호활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최근 1년 이내 안전관리교육 유무,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능력, 간호근무환경, 안전사고 경험 유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병원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근무환경 개선과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교육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사례 기반 교육과 표준화된 인수인계 전략이 강조되어야 하며, 조직 차원의 리더십 지원과 자원 확보가 환아 안전 수준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influence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pediatric hospital n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62 nurses working at four children's hospitals located in city M.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5.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ean scores were 2.94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3.14 for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4.64 for safety nursing activities. Both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afety culture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afety nursing activities. Key factors influencing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recent safety training experience within one year, ability to cope with safety incidents,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experience of safety incidents. In conclusion,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providing effective safety management education are essential to enhance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pediatric hospital nurses. Case-based education, standardized handover strategies, leadership support, and resource alloc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re emphasized to improve pediatric patient saf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진(Mi Jin Lee). (2025).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193-204

MLA

이미진(Mi Jin Lee).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5): 19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