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al-Time Monitoring of Lifting Force-Displacement for Bridge using Smart Senso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희광(Hee Kwang Lee) 최정열(Jung Youl Choi)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7호, 159~1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량 받침의 노후화로 인해 실시되는 교체 공사 시, 공정 전반에 걸쳐 교량의 구조적 거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이를 예측 가능한 시스템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공법에서는 교량 인상 초기에만 하중 및 변위 계측이 이루어지고 시공 중에는 계측 장비가 철거됨에 따라 구조물의 거동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상잭에 스마트센서를 부착하여 인상 과정 중 발생하는 압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기존 센서를 통해 측정된 초기 인상 하중 및 변위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스마트센서의 계측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교량 받침 교체 공사 시 발생하는 하중 변화를 학습하고, 이를 통해 교량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한 계측이 아닌 교량 공사 과정 전체를 스마트센서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예측 가능한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향후 스마트건설기술의 핵심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transform the replacement works of bridge bearings, which are conducted due to aging, into a system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and predictive analysis of the bridge’s structural behavior throughout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In conventional methods, load and displacement are measured only at the initial stage of bridge jacking, and the monitoring devices are removed during construction, limiting the ability to replacement works for bridge bearing. In this study, smart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jacks used for lifting, allowing the real-time pressure data during the jacking process. The reliability of the smart sensor measurement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initial jacking load and displacement measured by conventional sensors. Furthermor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ere applied to the real-time data with the form of time-series to learn the load variations that occur during the bridge bearing replacement works. As a result, an optimal predictive model was proposed to prediet the bridge’s structural behavior. This study was proposed to the beyond simple measurement by analyzing and converting the entire bridge construction process using the, prediction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data.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establish a key foundation for futur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목차
Ⅰ. 서 론
Ⅱ. 현장측정
Ⅲ. 교량 인상 모니터링 시스템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사용자 요인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전보건관계자 중심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안전사고 심각도 예측 변수 탐색 - 경기도 자료를 중심으로
- 스마트 국방의 안전행동 동기 요인 분석과 조직문화 발전 전략
-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웨어러블 생체신호 기반 건설 중장비 운전자의 정량적 상황인지 평가 가능성 탐색
- 전문건설업 단위작업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확인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 및 인프라 토공·철근콘크리트 공종을 중심으로
- 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안전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안
- 도심지 모듈형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시나리오 평가와 안전관리 전략
- 산악철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궤도의 전단앵커 설계
- 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 전력산업 원청의 안전리더십이 협력사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QM 모형 기반 매개분석
- 음주운전 단속기준의 과학적 개선에 관한 연구 - 혈중알코올농도 분해율의 시간 및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 스토킹 가해자의 재범위험요인과 예측모형 - 가족지원 취약성과 행동 통제 결함을 중심으로
-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교량 인상 하중-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학업스트레스, 그릿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성 병역제도 연구 - 여성 징병제와 모병제의 비교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지하철 혼잡도를 고려한 콘크리트궤도의 탄성패드 스프링강성 평가
- 한부모 가구주의 고용 궤적이 청소년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우울과 자녀와의 대화 시간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사용자 요인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전보건관계자 중심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안전사고 심각도 예측 변수 탐색 - 경기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