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inciples and Approaches of ‘Safety Korean’ Education forForeign Work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손혜진(Hye Jin So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7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 현장 내 안전사고가 언어적 의사소통의 한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 한국어(Safety Korean)’의 개념을 설정하고,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역량을 언어교육 차원에서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근로자의 안전을 다룬 한국어 교재 두 권을 분석하여 안전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교육은 지식 전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나 의사소통적 차원에서 안전 관련 상황에서의 대응력을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현재 교재를 통해 제시되고 있는 안전 관련 한국어교육 내용 역시 지식 전달 중심으로 실제 안전 관련 담화 상황을 반영하여 의사소통 능력 함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 한국어 교육이 외국인 근로자가 관련 상황에서의 한국어로 대응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을 기르도록 하는 교육적 원리와 실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 교육과 한국어교육을 연계한 기초 연구로서, 향후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등 보다 구체화 된 후속 연구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accidents involving foreign workers and limitation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It aims to define the concept of Safety Korean and explore ways to enhance foreign workers’ safety competence through language education. To achieve this,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containing safety-related content were analyzed to identify core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Safety Korean Education. Findings indicate that current safety education mainly focuses on knowledge delivery rather than developing communicative skills needed to respond effectively in safety situations. Moreover, existing materials insufficiently reflect authentic workplace discours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key educational principl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help foreign workers build linguistic competence for responding to safety-related context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industry-specific teaching–learning model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search Methods
Ⅲ. Analysis of Safety Korean Education Case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Ⅳ. Pedagogical Approaches for Safety Korean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Ⅴ.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사용자 요인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전보건관계자 중심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안전사고 심각도 예측 변수 탐색 - 경기도 자료를 중심으로
- 스마트 국방의 안전행동 동기 요인 분석과 조직문화 발전 전략
- 아동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웨어러블 생체신호 기반 건설 중장비 운전자의 정량적 상황인지 평가 가능성 탐색
- 전문건설업 단위작업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요인 확인방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건축 및 인프라 토공·철근콘크리트 공종을 중심으로
- 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의 학습동기 특징 분석 - 한국도로교통공단 특별교통안전교육 수강생을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안전 한국어’ 교육의 원리와 방안
- 도심지 모듈형 수소충전소의 위험성 시나리오 평가와 안전관리 전략
- 산악철도용 프리캐스트 패널 궤도의 전단앵커 설계
- 셉테드 기반 학교 안전 취약점 평가와 건축계획 개선 방안
- 전력산업 원청의 안전리더십이 협력사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QM 모형 기반 매개분석
- 음주운전 단속기준의 과학적 개선에 관한 연구 - 혈중알코올농도 분해율의 시간 및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 스토킹 가해자의 재범위험요인과 예측모형 - 가족지원 취약성과 행동 통제 결함을 중심으로
-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교량 인상 하중-변위 실시간 모니터링
-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불안, 학업스트레스, 그릿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성 병역제도 연구 - 여성 징병제와 모병제의 비교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지하철 혼잡도를 고려한 콘크리트궤도의 탄성패드 스프링강성 평가
- 한부모 가구주의 고용 궤적이 청소년 자녀의 미디어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부모 우울과 자녀와의 대화 시간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안전벨트 미착용 관련 요인 - 2024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건설업 안전보건관리체계에서 사용자 요인이 빅데이터 분석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안전보건관계자 중심으로
- 국내에서 CCTV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의 혼재성 검토 - 연구방법, CCTV 효과성, 한계를 중심으로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안전사고 심각도 예측 변수 탐색 - 경기도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