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ietzsche’s Agon and Arendt’s Amor Mundi - From Self-Overcoming to Relational Responsibility i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문선(Sun Moon)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48집, 275~3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교육은 개인주의적 자율성과 성과 중심 정책의 영향 아래 도구화되고, 인간의 존재 조건과 세계와의 관계 맺음을 간과한 채 효율성의 논리에 종속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위기 속에서, 본 연구는 교육의 실존적 전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의지(will)’와 ‘아곤(Agon)’ 개념을 중심으로 한 철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먼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를 거쳐 형성된 전통적 의지 개념의 세부 계보를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 니체가‘힘에의 의지(Wille zur Macht)’와 ‘아곤’ 개념을 통해 인간을 자기극복과 가치 창조의 주체로 재해석한 사유를 고찰한다. 또한 아렌트의 『정신의 삶: 의지』를 중심으로, 니체의 아곤이 타자성과 공적 책임을 결여한 한계를 지닌다는 비판과 함께, 이를 ‘탄생적 의지(natal willing)’와 ‘복수성(plurality)’ 개념을 토대로 관계적·책임적 장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아렌트의 이러한 전환은 교육을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새롭게 태어난 존재가 세계에 등장하고 책임 있는관계를 형성하는 실천으로 재정립한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아렌트의 사유를통해, 경쟁과 우월성 추구를 넘어 세계사랑(amor mundi)과 책임의 윤리를 기반으로 한 교육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education has been instrumentalized under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tic autonomy and performance-oriented policies, becoming subordinated to the logic of efficiency while neglecting the human condition and the relational engagement with the world. In response to this crisis,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n existenti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through a philosophical analysis centered on the concepts of “will” and “agon.” This paper focuses on Nietzsche’s reinterpret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subject of self-overcoming and value creation through the concepts of the “will to power (Wille zur Macht)” and “agon.” Furthermore, drawing on Arendt’s The Life of the Mind: Willing, it examines her critique that Nietzsche’s agon lacks otherness and public responsibility, and analyzes how she reconstructs it into a relational and responsible arena on the basis of “natal willing” and “plurality.” This Arendtian transformation redefines education not as a mere transmission of knowledge but as a practice through which new beings appear in the world and form responsible relationships. Ultimately, the study proposes, through Arendt’s thought, a new horizon of educational philosophy grounded in‘amor mundi’ and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transcending competition and the pursuit of superior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니체의 ‘힘에의 의지’와 ‘아곤’개념
3. 아렌트의 비판적 수용: 타자와 세계를 향한 전환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니체의 칸트 인식론 비판 재고찰
- 니체의 여성적 주체성과 포스트휴먼
- 니체의 예수 해석에 내재된 갈등 - 『안티크리스트』의 바보(idiot)와 어린이 해석을 중심으로
- 니체의 ‘커다란 신체(몸)’를 통한 커다란 건강과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의 ‘커다람’의 재해석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건강철학적 해명 - 이 저서의 「2부」에 나타난 심리학적 가르침 중 자기인식과 연민 그리고 복수심을 중심으로
- 니체가 그리스 문화와 탈레스로부터 배운 철학의 방법
- 니체의 그리스 비극에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연구
- 니체의 아곤과 아렌트의 세계사랑 - 자기극복에서 관계적 책임교육으로의 전환
- 자기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창의적 언어사용 - 니체의 글쓰기와 은유적 해석가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