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siting Nietzsche’s Critique of Kantian Epistemology
- 발행기관
- 한국니체학회
- 저자명
- 김슬기(Seulki Kim)
- 간행물 정보
- 『니체연구』제48집, 7~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니체의 칸트 인식론 비판을 단순한 반박이 아니라 비판적 계승으로 읽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니체는 칸트가 인식을 수동적 발견에서 능동적 구성으로 전환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물자체와 선험적 범주라는 독단적 전제가 인식 주체의 진정한 능동성을 제약한다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독단성이 특정 가치평가를 객관적 진리로 위장하는 데서 비롯된 것임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니체의 논의를 두 층위로 분석한다. 첫째, 인식론 내재적 차원에서 그는 범주와 물자체 개념의 논리적 모순을 지적한다. 둘째, 규범적·가치론적 차원에서 그는 칸트 인식론이 경험 세계를 부정하는 가치 체계를 은밀히 전제한다고 비판한다. 니체가 보기에 칸트의 인식 주체는 주어진 형식을 기계적으로 적용할 뿐, 그 형식 자체를 비판하거나 새로운 관점을 창출할 수 없다. 니체는 모든 인식이 가치평가를 전제한다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각자가가치 체계를 비판하고 새로운 평가를 창출할 가능성을 연다. 이로써 인식 능력은 칸트적 “자발성”을 넘어 니체적 “창조성”으로 확장된다. 본 논문은 궁극적으로 니체의 칸트 비판이 칸트 인식론에 내재된 가치평가적 지평을 폭로함으로써, 칸트가 제시한 능동성 개념을 보다 급진적으로 발전시킨 비판적 계승임을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Nietzsche’s endorsement and critique of Kant’s epistemology.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 and Kant has often been underestimated in Nietzschean scholarship, Nietzsche continuously expressed a huge interest in Kantian philosophy, particularly epistemology, from his early philosophical period through his later works. I argue that Nietzsche’s critique of Kantian epistemology can be interpreted not as mere refutation but as critical appropriation. Nietzsche highly esteemed Kant’s revolutionary insight regarding the active and constructive activity of the knowing subject, while simultaneously criticizing Kant for maintaining the dogmatic presuppositions of traditional metaphysics. My central concern is to clarify why Nietzsche criticizes such dogmatism. In Nietzsche’s view, I argue, these dogmatic premises impose constraints on the fundamental activity of cognitive faculties ― what he terms creativity. To demonstrate this, I distinguish Nietzsche’s discussion into two sorts: epistemological and normative-evaluative. Through this analysis, I demonstrate that Nietzsche critically appropriates Kantian epistemology by radicalizing Kant’s conception of cognitive activity and reconstituting it as a more fundamental form of creative activ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칸트 인식론 수용 및 긍정적 평가
3. 니체의 칸트 인식론 비판
4. 니체의 비판적 계승: 칸트적 능동성에서 니체적 창조성으로
5.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니체의 칸트 인식론 비판 재고찰
- 니체의 여성적 주체성과 포스트휴먼
- 니체의 예수 해석에 내재된 갈등 - 『안티크리스트』의 바보(idiot)와 어린이 해석을 중심으로
- 니체의 ‘커다란 신체(몸)’를 통한 커다란 건강과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의 ‘커다람’의 재해석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건강철학적 해명 - 이 저서의 「2부」에 나타난 심리학적 가르침 중 자기인식과 연민 그리고 복수심을 중심으로
- 니체가 그리스 문화와 탈레스로부터 배운 철학의 방법
- 니체의 그리스 비극에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연구
- 니체의 아곤과 아렌트의 세계사랑 - 자기극복에서 관계적 책임교육으로의 전환
- 자기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창의적 언어사용 - 니체의 글쓰기와 은유적 해석가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