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니체의 그리스 비극에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Inquiry into the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 in Nietzsche’s Conception of Greek Tragedy
발행기관
한국니체학회
저자명
양해림(Hae-Rim Yang)
간행물 정보
『니체연구』제48집, 235~27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니체가 호메로스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해 이해하려면, 그의 핵심 두 개념인 아폴론적(Apollinisch)과 디오니소스적(Dionysisch) 원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관건이다. 즉 니체는 고대 그리스 예술의 본질을 아폴론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이라는 두 원리의 상호작용을 통해 설명한다. 니체는 호메로스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호메로스 이후 아테네의 비극시대에 나타난 예술을 더 높게평가한다. 왜냐하면 이 비극적 예술은 인간 존재의 고통과 혼돈을 더 정면으로마주하고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는 특히 비극의 죽음을 소크라테스의 이성 중심적 사고와 연결 짓는데, 이성적 설명을 중시하는 소크라테스적 세계관은 호메로스적 아폴론성과 닮은 점이 있다고 보았다. 니체는 그리스 문명이 위대했던 이유를 아곤적 정신의 수용에서 찾는다. 그는 소크라테스 이후 이 조화가 깨지고, 논리와 이성 중심의 문화가 디오니소스를 억압하면서 예술이 쇠퇴했다고본다. 니체는 호메로스에서 소크라테스에 이르는 그리스인들에 대한 모든 예술의 가장 내적인 의존이 납득할 만하게 설명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아곤은 존재자체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현실은 고정된 질서가 아니라, 서로 상반된 힘들이 긴장하며 생성되는 과정이다. 이 점에서 니체는 “헤라클레이토스적인 세계관을 계승한다: 모든 것은 싸움(πόλεμος)에서 비롯된다.” 호메로스(Homer)는 아폴론적 예술의 대표로 제시하였고, 고대 그리스 문화의 한 축을 형성하는 인물로 평가된다. 특히 아곤은 이 두 충동의 긴장 속에서 예술과 문화가 태어난다고 보았다. 니체는 ‘힘에의 의지’에 의해 삶이 본질적으로 자기 자신을 넘어서려는 의지를 가진다는 생각인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비극의 탄생』에서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개념을 분석하고, 이들의 갈등과 대립, 그리고 비극 예술에서의 화해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니체의 갈등(아곤) 개념을 중심 논제로서 조명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o fully grasp Nietzsche’s interpretation of Homer, it is crucial to examine his two central aesthetic principles: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In The Birth of Tragedy, Nietzsche conceptualizes the essence of ancient Greek art as arising from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these two opposing yet complementary forces. While Nietzsche holds Homer in high esteem as a foundational figure of Greek cultural expression, he accords even greater value to the art of Athenian tragedy, particularly that of Aeschylus and Sophocles. This is due to tragedy’s more direct and profound engagement with the suffering, chaos, and irrationality at the heart of human existence. Nietzsche attributes the decline of tragedy to the rise of Socratic rationalism, which, in its insistence on reason and dialectical clarity, suppresses the Dionysian element essential to artistic vitality. He draws a parallel between the Socratic worldview and the Apollonian impulse found in Homeric poetry, both of which reflect a tendency to impose order and clarity upon the world. According to Nietzsche, the greatness of Greek civilization lay in its agonistic spirit ― its capacity to sustain a creative tension between these conflicting impulses. Following the advent of Socratic philosophy, however this delicate equilibrium was disrupted. The increasing dominance of rationalism led to the repression of Dionysian energies,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tragic artistic vision. For Nietzsche, the intrinsic development of all Greek art ― from Homer through to Socrates ― must be understood through this internal dialectic of opposing forces. The concept of agon (ἀγών), or contest, is not merely a social or political feature of Greek life but constitutes the very mode through which reality discloses itself. Reality, for Nietzsche, is not a static order but a process of becoming, born out of the continual tension and struggle between conflicting powers. In this respect, Nietzsche inherits and radicalizes a Heraclitean worldview, wherein “all things arise through strife (πόλεμος).” Homer is thus positioned as the paradigm of Apollonian art, embodying the principle of form, restraint, and idealized clarity. Yet Nietzsche maintains that true artistic and cultural creation emerges not from the dominance of one principle, but from the agonistic tension between the Apollonian and the Dionysian. Life itself, Nietzsche argues, is fundamentally driven by the will to power ― a force through which existence seeks to overcome and transcend itself. Accordingly, this paper will investigate Nietzsche’s analysis of the Apollonian and Dionysian principl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ir antagonism a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within tragic art. By placing Nietzsche’s notion of agon at the center of this inquiry, the study aims to illuminate his interpretation of Greek art, as well as his broader ontological and aesthetic vision of existence.

목차

1. 사회적 갈등은 왜 발생하는가?
2. 갈등과 경쟁, 그 근원적 의미
3. 갈등과 경쟁: 호메로스와 아폴론적 세계
4. 갈등과 경쟁: 호메로스와 디오니소스의 세계
5. 갈등과 경쟁, 한국 사회는 어떻게 정당한 경쟁자를 내세울 수 있을까?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해림(Hae-Rim Yang). (2025).니체의 그리스 비극에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연구. 니체연구, (), 235-272

MLA

양해림(Hae-Rim Yang). "니체의 그리스 비극에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연구." 니체연구, (2025): 235-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