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채만식 희곡 <심봉사>(1936) 속 안맹(眼盲) 형상화와 비극 구조의 의미 재고

이용수  3

영문명
Rethinking Blindness and Tragic Structure in Chae Man-sik’s Play Simbongsa (1936)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최연수(Yeon su Choi)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60집, 339~36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심청 서사의 핵심 장치인 ‘안맹(眼盲)’이 채만식의 희곡 <심봉사>(1936)에서 어떤 비극적 함의를 지니게 되었는지를 해석함으로써, 장애와 서사 구조의 관계 변화를 새롭게 통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심봉사>가 장애를 시작점으로 차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가 서사 내적 파생 요소를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논의를 위해 완판본 <심청전>, 신재효본 <심청전>과의 비교 분석을 거쳐 작품 속 심봉사의 안맹이 형상화되는 양상을 확인해보았다. 곽씨 부인·심청·동리 여인들처럼 주요 인물들의 장애 인식은 가족이나 마을 공동체 등 심봉사와의 관계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원전과 달리 심봉사와 곽씨 부인 모두 심청을 생래적인 ‘치유의 대리인’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가부장적 제도와 가족 내 젠더 역할의 영향으로 역설적이게도 심청은 여전히 아버지의 안맹을 치료하기 위해 도구화되는 지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희곡으로 개작된 <심봉사>는 심봉사의 감정과 내면 묘사가 직접적이라는 점에 장애 당사자로서 그의 자기 인식을 함께 탐구하기 유리하다. 장애를 운명론적으로 받아들이는 그의 태도는 심청을 아끼는 마음과는 별개로, 도덕적·인식적으로 현실을 외면한 채 사리에 어두운 선택을 하게 하는 ‘은유적 안맹’으로도 기능한다. 하지만 이 작품 속 심봉사는 주변 인물에 대한 애정과 감사를 표현할 줄 알며, 자기 반성이 가능한 인물이다. 따라서 심청이 살아 돌아오지 못함을 알게 되자, 개안을 향한 자신의 욕망이 딸을 죽음으로 내몬 것임을 깨닫고 잘못을 속죄하며 어렵게 뜬 눈을 찔러 스스로 ‘두 번째 안맹’을 택한다. 이러한 결말은 『오이디푸스왕』과 형식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심봉사의 선택이 신탁이나 운명에 의한 것이 아니라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율적 결단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전생의 죄를 속량했기에 눈을 뜨게 되었다’는 식의 신적 질서를 믿던 그가, 그 보상물을 스스로 파괴함으로써 작품 전반을 지배하던 개안의 열망에서 벗어나 맹목적인 정상성으로의 회귀도, 신적 질서에의 복속도 거부하는 윤리적 선택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심봉사>의 비극성은 오이디푸스의 비극과는 구분되는 독자성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해석을 통해 본 연구는 심청 서사의 근대적 수용에서 장애와 서사 구조의 상관성을 새롭게 조명하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narrative structure by interpreting the tragic implications that “blindness(眼盲),” a core device in the SimCheong narrative, acquires in Chae Man-sik’s play Simbongsa (1936). The inquiry stems from a critical awareness that although Simbongsa adopts disability as its starting point, previous scholarship has not sufficiently discussed the elements generated within the narrative. To this e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Wanpan (完板) edition of SimCheong-jeon and Sin Jae-hyo’s SimCheong-jeon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Sim Bongsa’s blindness is depicted in the play. The perceptions of disability held by key characters such as Madam Gwak, SimCheong, and the village women are shap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relational ties to Sim Bongsa within the family or communal network. Notably, unlike the original texts, both Sim Bongsa and Madam Gwak do not regard SimCheong as a natural “proxy agent of cure.” Paradoxically, under the weight of patriarchal institutions and gendered family roles, SimCheong is still instrumentalized to cure her father’s blindness. The dramatic adaptation, Simbongsa , with its direct portrayal of Simbongsa’s emotions and inner life, facilitates an exploration of his self-perception as a person with disability. His fatalistic acceptance of disability functions not only as affection for Simcheong but also as a form of “metaphorical blindness” that leads him to ignore moral reason and make misguided choices. Simultaneously, Simbongsa in this play is capable of expressing affection and gratitude toward others and engaging in self-reflection. Thus, upon realizing that SimCheong has not returned alive, he understands that his longing for sight has driven his daughter to her death. In expiation, he pierces his hard-won eyes, choosing for himself a “second blindness.” While this finale formally resembles Oedipus Rex, it is distinguished by the fact that Simbongsa’s decision arises not from fate or divine oracle but from his own moral agency as an autonomous subject. Once a believer in divine order-“the opening of the eyes as redemption for sins of a past life”-he shatters that very reward by his own hand. In doing so, he rejects both the blind return to normativity and subjugation to the divine order, making his own ethical choice. Consequently, the tragic nature of Simbongsa acquires a distinctive character that sets it apart from the tragedy of Oedipus. Through this interpretation, the present study seeks to illuminate anew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and narrative structure in the modern reception of the SimCheong story.

목차

1. 서론
2. 심봉사와 주변 인물들의 관계 및 장애 인식
3. 심봉사의 세계 인식과 비극 구조의 전유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연수(Yeon su Choi). (2025).채만식 희곡 <심봉사>(1936) 속 안맹(眼盲) 형상화와 비극 구조의 의미 재고. 판소리연구, (), 339-369

MLA

최연수(Yeon su Choi). "채만식 희곡 <심봉사>(1936) 속 안맹(眼盲) 형상화와 비극 구조의 의미 재고." 판소리연구, (2025): 339-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