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늘날 창작판소리의 경향과 학술적 과제

이용수  12

영문명
Current Creative Trends and Academic Challenges of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영주(Young ju Kim)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60집, 7~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술의 발전은 그것을 이루는 세부적 요소 각각을 주목하고 이를 확장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일어날 수 있다. 판소리의 경우 서사, 음악, 발림 가운데 한 가지를 주목해 확장시키면서 변화하게 된다. 첫 번째 요소인 ‘서사’를 주목하고 변화시킨 것은 서사 지향 창작판소리인데 소리판의 형태는 원형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북 이외의 현대식 악기를 추가하고 기존 판소리에는 쓰이지 않는 전통 장단을 쓰거나, 새로운 장단을 만들거나, 대중가요풍의 노래를 삽입하는 등으로 구성하기도 하지만 1인 창으로 진행되는 전통 소리판 형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표출된다. 두 번째, 음악적 요소를 주목하면 전통판소리를 편곡해서 부르거나 새악곡의 창작이 가능하다. 이 유형은 대개 음반으로 만들어지는데 판소리 성음과 선율 등으로 노래 부르면서 청중이 음악으로 즐기도록 하려는 일련의 작품들을 ‘음악 지향 창작판소리’로 범주화할 수 있다. 이 부류 역시 서사를 지니고 있으며, 이 유형에서 발림은 소리꾼의 동작과 표정 연기로 표출된다. 소리꾼은 노래로 서사를 들려주면서 인물이 바뀌거나 서술자로 전환될 때 그 역할에 맞는 표정과 성음을 연출하게 된다. 세 번째, 극적 요소인 발림을 강하게 지향하면 연극적 연출을 보일수 있다. 전통판소리에서는 다소 소극적이었던 소리꾼의 몸짓 곧 연극적 요소를 확장함으로써 극으로서의 지향성을 지닌 일련의 작품들을 ‘극 지향 창작판소리’로 범주화할 수 있다. 이 경우 2인 이상의 소리꾼이 표정, 몸짓, 활동 영역 등을 최대화한 연출을 보여주게 된다. 하지만 1인 1배역으로 정확하게 분할하지는 않고 한 소리꾼이 여러 배역을 넘나드는 것으로 판소리 장르성을 확보하고 있다. 혹은 하나의배역을 여러 소리꾼이 번갈아가며 연기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빈무대 위에서 부채를 든 소리꾼이 아니리와 창을 번갈아가며 서사를 들려주는 것으로 청관중에게 이면을 그리게 하는 연출은 창극과의 구별점으로도 기능한다. 전통 예술물이었던 판소리를 동시대 예술로 향유하기 위해서 일회적인 전시성에서 벗어나 일상적 기능성을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 일상의 단면을 포착하고 이를 의제화시킬 수 있는 의식이 필요하다. 또 전통판소리의 매커니즘을 십분 살려 판소리의 예술성을 제고할 수 있다. 입말적 특성으로 나타나게 된 ‘사설과 음악의 상반된 배치’와 ‘착종된 미감’은 소리판의 현장성을 살리는 것으로 추구할수 있다. 이러한 판소리 창작 경향에 대해 학자들이 학술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론적 토대를 마련해 판소리 변화의 허용 범위 및 그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할 것이다.

영문 초록

Artistic advancement can be achieved by focusing on and expanding upon each element. In the case of pansori, this transformation is achieved by focusing on and expanding upon one of three elements: narrative, music, and gesture. First, although narrative-centered creative pansori is a variation of the original story, the traditional stage format remains unchanged. Recently, some have introduced modern instruments in place of the drum, borrowed traditional rhythms not found in traditional pansori, created new rhythms, or incorporated pop-style songs. Second, focusing on the musical elements allows for the arrangement and singing of traditional pansori, that is, the creation of new works. These works are sometimes recorded and may be categorized as “music-centered creative pansori.” By integrating the vocal and melodic elements of pansori, they enable the audience to enjoy the music. This category also includes gestural expressions conveyed through the singer's movements, and facial expressions. Singers convey stories through songs, change characters, or assume the roles of speakers,utilizing facial expressions and vocaliza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their role. Third, a theatrical workcan be created through an emphasis on gesture. Works with a dramatic orientation that expand upon theatrical elements, such as the singer’s gestures, which were somewhat restrained in traditional pansori, can be called “theatrical creative pansori.” In this case, two or more singers perform works that maximizefacial expressions, gestures, and various activities. However, rather than simply strictly distinguishing roles, a single singer often assumes multiple roles, thereby establishing a genre identity. Alternatively, multiple singers may alternate roles. Furthermore, unlike changgeuk, a fan-wielding singer alternates between playing aniri and chang on an empty stage, enabling the audience to imagine the scene. To truly appreciate a traditional art form like pansori as a contemporary art form, we must transcend the exhibitionist framework of the past and embrace its everyday functions. This requires a consciousness that captures and reveals aspects of our everyday lives. Furthermore, fully utilizing the mechanisms of pansori can further enhance its artistry. The “contrasting structure of narrative and music” and “contrasting aesthetics,” characteristic of oral tradition, can be realized by emphasizing the vitality of sound. Scholars should devote academic attention to this creative flow in pansori,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opose acceptable boundaries and standards for its evolution.

목차

1. 논의의 시작
2. 오늘날 판소리의 창작 경향과 유형별 특징
3. 판소리 장르의 확장적 이해
4. 창작판소리의 예술적 기능과 학술적 과제
5. 논의의 요약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주(Young ju Kim). (2025).오늘날 창작판소리의 경향과 학술적 과제. 판소리연구, (), 7-37

MLA

김영주(Young ju Kim). "오늘날 창작판소리의 경향과 학술적 과제." 판소리연구, (2025): 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