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a Core Competency Model for Tourism Management Major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왕이에핑(Yeping Wang)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83집, 233~2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의해 사회 의 변화와 함께 관광에 대한 수요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전환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관광전공 핵심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관광전공핵심역량모형의 개발을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서 구체적인 능력을 추출하고, 구체적인 능력을 범주화하여 핵심역량 53개를 구성하고, 핵심역량을 조직화하여 핵심역량군 10를 구조화 하였다. 10개의 핵심역량군을 관계에 따라서 재구성하여 핵심역량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핵심역량모형은 5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통해서 타당성, 설명력, 유용성, 보편성, 이해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전문가들이 타당한 것으로 검증하였고, 최초 모형이 수용되었다. 이에 모형의 수정 없이 최종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디지털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사회와 관광산업의 구조의 변화에 따라 관광산업 종사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변화함에 따라 관광교육의 방향도 변화해야 하기에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역량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새로운 역량모형은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에 시의적절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tourism majors to prepare for a digitally transformed society, reflecting the societal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advancement of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the evolving demand for tourism.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tourism majors,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specific competencies. This was followed by categorizing these competencies into 53 core competencies, which were then organized into 10 core competency clusters. The core competency model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se 10 core competency clust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s. The developed core competency model was tested for validity, explanatory power, usability, universality, and understandability through a Delphi survey with five experts. Experts validated the model across all domains, and the initial model was accepted. Therefore, the model was presented as the final model without modification.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This study developed and presented a competency model appropriate for the new era. This development is driven by structural changes in society and the tourism industry due to the advancement of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Consequen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ourism professionals are evolving, necessitating a corresponding shift in the direction of tourism education. This new competency model offers a fundamental direction for developing new curricula, making it a timely stud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
Ⅳ. Research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왕이에핑(Yeping Wang). (2025).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기독교교육 논총, (), 233-261

MLA

왕이에핑(Yeping Wang).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기독교교육 논총, (2025): 233-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