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Using AI in a Christian General Education Course : Focusing on Changes in AI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아(Seongah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3집, 111~13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설계하고 운영함으로, 그 사례를 통해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의 구성과 운영사례를 제시하고, 수업을 통해 학습자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AI의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AI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창의적 결과물을 산출하고, 그 과정에서 AI에 대한 이해 및 비판적 성찰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구성·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서울 소재 K대학교의 교양과목 ‘기독교교육과 인공지능’ 수업을 대상으로, 15주간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한 보드게임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연구는 수업 전후 AI 리터러시 검사를 통해 정량적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프로젝트 종료 후 제출된 성찰저널을 내용 분석하여 정성적 인식 변화를 파악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양적 분석 결과, 이해, 적용, 비판적 평가, 윤리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질적 분석에서는 학생들이 AI 도구를 창의적 활동에 활용하며, 교회교육적 맥락에의 적용 가능성과 개인적 신앙 성찰의 기회를 경험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성형 AI 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의 AI 리터러시 함양과 통합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다양한 맥락과 도구를 활용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d implement a project-based course utiliz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presenting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I-integrated project-based learning. Beyond simply introducing AI tools, the course allowed students to produce creative outcomes while fostering their understanding of AI and encouraging critical reflection on its u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general education course titled “Christian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t K University in Seoul. Over the course of 15 weeks, students developed educational board games using generative AI tools such as GPT and Canva. Quantitative improvements in students’ AI literacy were assessed through pre- and post-course evaluations, while qualitative shifts in perception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submitted at the end of the project.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ins across all four domains of AI literacy: comprehension, application, critical evaluation, and ethical awareness. In addition, the qualitative findings indicated that students engaged creatively with AI tools, explored their applicability in church educational settings, and expressed personal faith reflections through the proje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ject-based instruction integrating generative AI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I literacy while also fostering holistic educational and spiritual growth. Future research is recommended to explore broader educational contexts, a wider range of AI tools, and learner diversity to further validate and extend these insigh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시대의 기독교 인문학교육 과제에 관한 연구
- 초고령사회, 마을교회의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 기독교학교에서 실행되고 경험된 School of Tomorrow 교육과정 연구
- 공립고등학교의 기독교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기독교 교양과목에서의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AI 리터러시 변화를 중심으로
- 영수 조병국의 교육·신앙·민족운동: 초기 한국교회의 통전적 기독교교육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 인구 절벽 시대의 교회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아기학교의 격대교육을 중심으로
-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격대교육(隔代敎育)에 관한 연구
- AI시대, 기독교 청소년 문화 교육의 과제 : 디지털 알고리즘과 문화 막시즘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