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Christian Clubs at Public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철(Eunchul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3집, 91~1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활동에서 기독교 동아리 활동 시간에 기독교 신앙이 없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선교를 목적으로 기독교 신앙을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 문헌을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교육 기관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독교 신앙이 없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요구분석 수행하여 교육목표 5개를 도출하였다. 학습자 분석 및 교육환경을 분석하여 수업방법을 결정하였고, 교육과정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12개의 학습목표와 36개의 하위요인이 구성되었다.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12차시 규모의 교육활동을 구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초안은 델파이 전문가 설문 조사를 사용하여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는 다음세대가 부재한 한국교회의 문제를 공교육에서 답을 찾고자 하는 학원복음화 사역을 지원하고, 고등학생들의 인성문제를 기독교동아리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을 지원하고자 기독교 동아리에서 운영할 수 있는 기독교 신앙교육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가장 큰 시사점이며, 특별히 신앙이 없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 가장 큰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ogram that educates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a Christian faith about the Christian faith for missionary purposes during Christian club activities within creative experiential clubs in high schools.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we analyzed literatur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educational institutions. Next, we conducted a needs analysis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without a Christian faith, identifying five educational objectives. We determined teaching methods based on learner and educational environment analysis, and analyzed the curriculum. This analysis resulted in 12 learning objectives and 36 sub-factors. Based on the curriculum, 12 instructional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 draft educational program was validated using a Delphi expert survey.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This study's greatest implications lie in supporting the mission of school evangelization, which seeks answers to the Korean church's lack of a next generation through public education. Furthermore, it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Christian faith education that can be operated by Christian clubs, supporting solutions to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issues through Christian club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specifically for students without religious beliefs offers the greatest implicatio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시대의 기독교 인문학교육 과제에 관한 연구
- 초고령사회, 마을교회의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 기독교학교에서 실행되고 경험된 School of Tomorrow 교육과정 연구
- 공립고등학교의 기독교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기독교 교양과목에서의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AI 리터러시 변화를 중심으로
- 영수 조병국의 교육·신앙·민족운동: 초기 한국교회의 통전적 기독교교육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 인구 절벽 시대의 교회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아기학교의 격대교육을 중심으로
-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격대교육(隔代敎育)에 관한 연구
- AI시대, 기독교 청소년 문화 교육의 과제 : 디지털 알고리즘과 문화 막시즘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