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ntergenerational Educat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Churc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명희(Myo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3집, 183~2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신앙계숭의 어려움으로 인해 침체되고 있는 교회학교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전통적인 대가족 구조 속에서 형성된 조손관계에 기반한 격대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고찰하고, 이를 교회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특히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자연스러운 신앙 전수 구조를 통해 교회교육의 연속성과 지속성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교회학교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하고, 교회학교 내에서 신앙계승의 중요성과 그 위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 격대교육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성경적 근거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격대교육자로서 조부모인 노인의 특성과 교육적 역할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교회학교 체계 안에서 조부모가 조력자, 안내자,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셋째, 조부모를 매개자로 한 격대교육을 교회학교 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교회학교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교회학교는 조부모 세대를 신앙 교육의 동역자로 세우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격대교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회교육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다음 세대 신앙 계승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격대교육의 주체인 조부모는 고령으로 인한 건강문제, 다양한 가정환경, 신앙의 성숙도 등 한계로 예측되는 변수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e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within grandparent-grandchild relationships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declining church schools caused by disruptions in faith transmission.
Content and Method : This study us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First, i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hurch schools, focusing on the crisis of faith inheritance. Second, it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biblical basis of intergenerational education, and explored the educational roles of grandparents—helpers, guides, and counselors. Third, it proposed practical ways to apply intergenerational education in church schools using grandparents as key mentor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 Church schools can strengthen faith continuity by involving grandparents as partners in education and developing related programs. This model offers a new way to pass down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However, programs must consider grandparents' health, family situations, and spiritual maturity. Churches should provide structured support to help grandparents serve effectively in faith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교회교육체계 안에서 격대교육자의 특징과 역할
Ⅳ.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격대교육 실천 방안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시대의 기독교 인문학교육 과제에 관한 연구
- 초고령사회, 마을교회의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 기독교학교에서 실행되고 경험된 School of Tomorrow 교육과정 연구
- 공립고등학교의 기독교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기독교 교양과목에서의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AI 리터러시 변화를 중심으로
- 영수 조병국의 교육·신앙·민족운동: 초기 한국교회의 통전적 기독교교육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 인구 절벽 시대의 교회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아기학교의 격대교육을 중심으로
-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격대교육(隔代敎育)에 관한 연구
- AI시대, 기독교 청소년 문화 교육의 과제 : 디지털 알고리즘과 문화 막시즘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