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Revitalizing Church Education in the Era of Population Decline: A Focus on the Grandparental Education in Bab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정(Eun-Jeong Jang) 이종민(Jong-Min Lee)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3집, 157~1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한국교회를 비롯한 다양한 기독교 교육 현장이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 절벽 시대를 맞이하는 상황 속에서 조부모와 손자녀가 함께하는 “격대교육 아기학교”를 실행연구로 검 증하여 교회교육의 지속가능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새에덴교회에서 진행하던 아기학교 프로그램을 조부 모와 손자녀가 함께하는 격대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 이에 대한 실행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격대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이��적 배경을 마련하고자, 첫째, 아기학교의 대상인 유아들 (25-55개월)의 특징을 발달 단계 이��에 따라 제시하고, 둘째, 격대교육을 통한 아기학교의 특징 을 새에덴교회에서 운영하고 있는 아기학교 “베베 스쿨”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회 현장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한 격대교육 중심의 아기학교에 참석한 조부모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를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을 전사처리하여 분석함으로써 격대교육을 통한 아기학교의 교육적 특징 을 고찰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조부모가 손자녀와 함께 하는 격대교육을 통해 (1) 조 부모가 손자녀에게 3대 신앙이 전수되는 것의 중요성, (2) 조부모와 손자녀 간의 통합교육을 통한 세대 연결 소통의 효과성, (3) 오감놀이와 전통놀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통한 예절 역량 강화의 적절성, (4) 조부모의 축복기도를 통한 교육의 주체로서의 인식, 그리고 (5) 가정 신앙 훈련과 기 독교 신앙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제시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한국교회 가 앞으로 지향해야 하는 “격대 캠프”와 “부자 프로젝트”를 격대교육 프로그램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e Study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sustainable alternative for church edu- cation by conducting action research on the “grandparetal education in Baby School,” a pro- gram in which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participate together, particularly in the con- text of Korean churches and other Christian Education settings that are facing a population cliff caused by low birth rate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 The existing baby school program conducted by SaeEden Church is reorganized into a grandparental education program involving both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and action research is carried out. First,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 dation for the program,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toddlers—the pri- mary participants of baby school—are examined through developmental stage theory. Seco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baby school through grandparental education are explored with a focus on ‘Bebe School,’ a program operated by SaeEden Church. Finally, interviews are con- ducted with grand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round of the grand- parents-centered baby school at the church site. The interview data are processed and ana- lyz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baby school through grand-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s, the five main categories were presented: (1) the importance of transmitting the Christian faith to their grandchildren through grandparental education, (2)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forstered by cross-generational education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 children, (3) the value of strengthening etiguette skills through programs utilizing the five senses and traditional games, (4) recognition of grandparents as active agents of education through blessing prayers, and (5) the cultivation of a positive image of family faith training and Christian fait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gr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churches, specifically through initiatives such as an “Intergenerational camp” and a “Grandparent-grandchildren project.”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스트 시대의 기독교 인문학교육 과제에 관한 연구
- 초고령사회, 마을교회의 활성화 방안
- 인도네시아 기독교학교에서 실행되고 경험된 School of Tomorrow 교육과정 연구
- 공립고등학교의 기독교 동아리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기독교 교양과목에서의 AI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AI 리터러시 변화를 중심으로
- 영수 조병국의 교육·신앙·민족운동: 초기 한국교회의 통전적 기독교교육에 대한 미시사적 연구
- 인구 절벽 시대의 교회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 연구: 아기학교의 격대교육을 중심으로
- 교회학교 활성화를 위한 격대교육(隔代敎育)에 관한 연구
- AI시대, 기독교 청소년 문화 교육의 과제 : 디지털 알고리즘과 문화 막시즘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사회를 위한 관광경영학 전공 핵심역량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