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Hairstyles for Women’s Hanbok(Traditional Korean Dres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정임전(Eim Jen Joung) 김혜경(Hye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3호, 211~22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to develop traditional hairstyles that maintain the beauty of heritage while appearing elegant, beautiful, and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wear. The currently used jjok-meori(traditional bun) fully exposes the face, which can cause discomfort for wearers—particularly those who feel self-conscious about having a broad or prominent face or about the “all-back” styl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revert to the original hairstyle after an event, and the style is challenging to create or adjust without professional assistance. While individuals often attempt to style their hair themselves using partial wigs, pins, or nets, such methods do not address issues related to haircut, perm waves, or hair color, resulting in untidy front and back sections that detract from the neat and graceful appearance of a hanbok(traditional Korean dress) ensemble. As the use of soryebok(formal attire) increases in both daily life and ceremonial occasions, there is a need for traditional hairstyles that suit various contexts, are easy and comfortable to wear, and allow quick changes back to modern hairstyles after event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ouble-wrapped cap-style eonjeun-meori(braid wraps around the entire head)” that offers versatility, affordability, minimal bulk, and high practicality. Most importantly, the design closely reflects authentic traditional hairstyles, enabling the preservation and modern adaptation of proper tradition in contemporary societ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디자인 개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3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캐릭터 메이크업 디자인 수업 사례
- 공유형 미용실이 20대 여성의 추구혜택과 서비스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화장품 인플루언서의 외모 특성 요인이 시청자의 신뢰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업 종사자의 직무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용 교직 관련 교재 개발 현황 및 필요성 연구
- 20대 한국여성과 중국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두피·모발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스칼프 세럼을 이용한 두피 경혈 마사지가 안면 피부 개선에 미치는 영향
-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합성과 자외선 흡수 특성 평가를 통한 화장품 적용 가능성 연구
- 황금 마스크 패턴과 걸그룹의 블러셔 메이크업을 활용한 블러셔 패턴 분석 연구
-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영상 콘텐츠가 뷰티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AI 뷰티일러스트레이션 수업모델 연구
- 여성 한복에 어울리는 고전 머리 개발에 관한 연구
- K-의료미용 여성 고객의 감정반응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전문가의 자기관리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
- 메이크업 미용 직무기술 분야에 관한 교과분류 및 인식조사 연구
- 남성 헤어커트의 작품제작
- 에스테틱 미용기기 사용의 법적·윤리적 문제와 부작용 실태에 관한 연구: 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게임 캐릭터 헤어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분석
- 감성리더십이 스파구성원의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페이퍼 스컬프처 기법을 활용한 로코코 시대 뒤바리·푸프 업스타일의 조형적 표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