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Appearance Interest on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among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신부섭(Bu-Seop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6권 제3호, 101~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appearance interest on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among women in their 20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The objective was to compare how different aspects of appearance interest influence care behaviors across the two countries. Appearance interest was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interest in appearance enhancement, and interest in social relationships.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were measured across four areas: shampooing behavior, product usage behavior, professional care behavior, and scalp aware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women exhibited generally high levels of appearance interest. Chinese participants reported greater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enhancement, while Korean participants showed relatively higher interest in social relationships. Regarding care behaviors, Chinese women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scalp awareness and professional care behavior, whereas Korean women were more active in product usage behavi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confirmed that appearance interest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overall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including scalp awareness. Among Korean women, interest in social relationships and appearance management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contrast, for Chinese women, appearance enhancement and appearance management played a more dominant rol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personal motivations for improving appearance and the desire to manage one’s social image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calp and hair care behavi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mphasizing cultural differences in how specific aspects of appearance interest shape consumer behavior in scalp and hair care. Th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culturally tailored marketing strategies in the global beauty industry, including the K-beauty sector.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6권 제3호 목차
- 디지털 기반 캐릭터 메이크업 디자인 수업 사례
- 공유형 미용실이 20대 여성의 추구혜택과 서비스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화장품 인플루언서의 외모 특성 요인이 시청자의 신뢰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업 종사자의 직무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미용 교직 관련 교재 개발 현황 및 필요성 연구
- 20대 한국여성과 중국여성의 외모관심도가 두피·모발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스칼프 세럼을 이용한 두피 경혈 마사지가 안면 피부 개선에 미치는 영향
-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합성과 자외선 흡수 특성 평가를 통한 화장품 적용 가능성 연구
- 황금 마스크 패턴과 걸그룹의 블러셔 메이크업을 활용한 블러셔 패턴 분석 연구
- 남성 뷰티 인플루언서의 영상 콘텐츠가 뷰티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3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AI 뷰티일러스트레이션 수업모델 연구
- 여성 한복에 어울리는 고전 머리 개발에 관한 연구
- K-의료미용 여성 고객의 감정반응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전문가의 자기관리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검증
- 메이크업 미용 직무기술 분야에 관한 교과분류 및 인식조사 연구
- 남성 헤어커트의 작품제작
- 에스테틱 미용기기 사용의 법적·윤리적 문제와 부작용 실태에 관한 연구: 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 게임 캐릭터 헤어스타일의 조형적 특성 분석
- 감성리더십이 스파구성원의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페이퍼 스컬프처 기법을 활용한 로코코 시대 뒤바리·푸프 업스타일의 조형적 표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의 성공 요인 분석-대본과 그 장르를 중심으로 -
- 소통을 위한 영화의 형식적 표현 연구-영화 <증인>을 중심으로 -
- 영화 <서치>의 연출 분석-파운드 푸티지와 전통적인 장르의 융합을 중심으로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