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행 주체별 녹색채권 프리미엄 차이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민간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Green Bond Premium Differences by Issuer Type : A Comparis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rporations
발행기관
한국회계정보학회
저자명
금병욱(Byounguk Keum)
간행물 정보
『회계정보연구』제43권 제3호, 131~14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정책이 확산되면서 ESG 경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녹색채권은 기업과 기관의 주요 자금조달 수단으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은 설립 목적, 역할 등에서 본질적 차이가 있으며, 이는 녹색채권 발행 시 투자자들의 인식과 요구수익률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발행주체별 그리니엄 차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권시장에서 녹색채권이 일반채권에 비해 금리 인하 효과, 즉 그리니엄이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발행기관의 유형에 따라 그리니엄의 크기와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국내 채권시장에서 발행된 원화 표시 회사채를 대상으로 한다. 녹색채권과 일반채권 간의 특성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행기관, 만기, 신용등급, 발행규모 등을 고려한 매칭 표본을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74개의 매칭 쌍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니엄의 존재 여부와 발행 주체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교차항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한 강건성 검증도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전체 표본에서 녹색채권은 일반채권 대비 약 6.5bp의 유의한 금리 절감효과를 보였다. 발행 주체별로는 민간기업이 발행한 녹색채권이 일반채권에 비해 약 7.4bp의 유의미한 금리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공공기관이 발행한 녹색채권은 그리니엄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한 추가 분석에서도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국내 녹색채권 시장에서 그리니엄이 존재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발행 주체별로 차별적 효과가 나타남을 규명하였다. 민간기업의 경우 녹색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 비용 절감이라는 경제적 인센티브를 얻을 수 있는 반면, 공공기관은 추가적인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는 정책입안자에게 발행 주체별 차별화된 녹색채권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발행기관에게는 효과적인 녹색채권 활용 전략 수립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As climate change response and carbon neutrality policies spread globally, the importance of ESG management has increased, and green bonds have rapidly emerged as a key financing instrument for companies and institutions. However,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rporations have fundamental differences in their establishment purposes and roles, which may have different impacts on investor perceptions and required rates of return when issuing green bonds. Despite this, empirical research on greenium differences by issuer type remain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green bonds exhibit interest rate reduction effects, i.e., greenium, compared to conventional bonds in the Korean bond market, and analyzes whether the magnitude and effects of greenium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issuing institution. [Methodology] This study focuses on corporate bonds denominated in Korean won issued in the domestic bond market from 2020 to 2025. To minimiz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green bonds and conventional bonds, we constructed matched samples considering issuing institutions, maturity, credit ratings, and issuance size, ultimately selecting 274 matched pairs f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action term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xistence of greenium and differences by issuer type, with additional robustness checks perform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Findings] The analysis reveals that green bonds showed a significant interest rate reduction effect of approximately 6.5 basis points compared to conventional bonds across the entire sample. By issuer type, green bonds issued by private corporations exhibited a significant interest rate reduction effect of approximately 7.4 basis points compared to conventional bonds, while green bonds issued by public institution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reenium effect. [Implication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e existence of greenium in Korea’s green bond market while identifying differential effects by issuer type. Private corporations can obtain economic incentives through reduced financing costs via green bond issuance, whereas public institutions require additional institutional enhancements. This suggests to policymakers the necessity of designing differentiated green bond policies by issuer type, and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issu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effective green bond utilization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금병욱(Byounguk Keum). (2025).발행 주체별 녹색채권 프리미엄 차이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민간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회계정보연구, 43 (3), 131-148

MLA

금병욱(Byounguk Keum). "발행 주체별 녹색채권 프리미엄 차이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 민간기업 비교를 중심으로." 회계정보연구, 43.3(2025): 13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