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about Auditors’ Staffing, Audit Profitability, Financial Information Qu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이병희(Byung-Hee Lee) 오광욱(Kwang Wuk Oh)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43권 제3호, 1~3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2019년부터 시행된 신외부감사법은 주기적 지정제, 표준감사시간제도, 외부감사인 등록제도, 내부심리기능의 강화 및 회사와 감사인에 대한 법적 책임을 강화하는 등 외부감사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신외부감사법 시행 이후 주기적 지정 1주기(3년)이 도래하여 사후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외부감사인의 감사보수, 수익성, 투입인력 수준 그리고 지정제도에 따른 감사품질 변화 등 다양한 제도 효과를 검토한다.
[연구방법] 2015년부터 공시되기 시작한 외부감사 실시 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직권지정제도와의 비교, 신외부감사법 시행을 전·후로 감사실시 계획의 변동, 직권지정과 주기적 지정의 회계정보품질 개선효과 비교 등 다양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결과로는, 신외부감사법 시행을 전후로 감사보수는 증가했으나 주기적 지정에서 해제되는 시점의 보수는 감소하여 시간당 감사보수도 하락하였다. 개업 시장 여건이 좋아짐에 따라 중소형 회계법인의 등록회계사 인원과 투입시간이 증가하였다. 직권지정과 비교할 때 주기적 지정은 회계정보의 품질을 적시에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주기적 지정제도가 예방적 기능을 함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첫째, 표준감사시간제도 운영을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감사노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중소형감사인 내부심리기능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셋째, 중소형감사인이 IT기반 감사기법 확대·실시하도록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회계정보 품질개선을 위해 중소형 감사인에 대한 조직 운영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코스닥기업의 회계정보 산출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 시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which took effect in 2019.
[Methodology] Using the external audit-staffing data that began to be disclosed in 2015, the study conducts an extensive analyzes such as changes in the audit-staffing, effects of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nd improvement of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after enforcement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Findings] Key finding are as followings. First, the study found that audit fees increased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New External Audit Act, but audit hours and the unit audit fees of firms released from the periodic designation were decreased. Second, the study also observed that the New External Audit Act increased the number of registered CPA and input(audit hours) of small and medium-sized accounting firms. Finally, compared with revisionary designation(mandatory designation), precautionary designation(periodic designation)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more timelier manner.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quire auditors to maintain a level of audit efforts under the Standard Audit-hours Guideline not to impair audit quality. Second, related auditor staffing, results suggest that non-big auditors need to increase the efforts of the internal. QC(audit quality control) and IT-based audit techniques. Third, the FSS(authority) need to require non-big accounting firms to strengthen the QC(quality control) system to increase audit quality. Fourth, the study suggests the FSS(authority) ne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KOSDAQ firms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목차
Ⅰ. 서 론
Ⅱ. 감사인 지정제도 및 신외부감사법 관련 선행연구
Ⅲ. 주요 분석
Ⅳ. 표본의 구성 및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신외부감사법 시행에 따른 외부감사 실시, 수익성 및 회계정보의 품질에 관한 효과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기업수명주기별 연구개발투자와 배당정책
- 외국인 투자자의 효과 : 노동투자의 효율성을 이용한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