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Foreign Investors:A Study Utilizing the Efficiency of Labor Investment
- 발행기관
- 한국회계정보학회
- 저자명
- 노하윤(Ha-Yun Roh) 최승욱(Seung Uk Choi)
- 간행물 정보
- 『회계정보연구』제43권 제3호, 71~10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자본시장의 주주는 투자자이면서 동시에 소유주로서 기업 의사결정을 감시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중요한 지배구조의 하나이다. 이들의 적절한 모니터링은 기업과 경영자의 의사결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상장사의 주요 주주 중 하나인 외국인 투자자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노동투자 효율성이 향상되는지 조사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에서 2022년 사이의 국내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노동투자의 (비)효율적인 정도는 선행연구에 따라 (비)정상적인 종업원 고용의 증감률로 측정하였다. 즉, 노동투자 비효율성은 종업원 고용률이 기대 수준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잔차로 측정하며, 이를 종속변수로 두고 관심변수로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결과, 외국인 지분율과 노동투자의 비효율성은 예상한 바와 같이 유의한 음의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의 노동투자 비효율성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견은 기업 고정효과를 포함하여 생략변수 효과를 완화하거나 엔트로피 밸런싱으로 조정된 모형에서도 일관되었다. 또한 노동투자의 비효율성을 과잉투자와 과소투자로 구분하여도 외국인 지분율 증가에 따라 두 비효율성이 모두 감소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특히 종업원을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한 뒤 노동투자 효율성을 각각 추정하여 조사하여도 양 그룹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외국인 지분율의 노동투자 효율성 개선 효과는 회계정보의 품질이 높은 표본 및 자산 손상의 징후가 없는 표본에서 주로 나타났다. 이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외국인 투자자의 감시효과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발견은 국내 상장사의 가치 평가 및 주가 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외국인 투자자의 역할을 기업의 노동투자에 관한 실제 경영 의사결정 관점에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며 학술적 공헌을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Investors in capital market play a crucial role by monitoring managerial decision-making. This study centers on foreign investors, a significant subset of shareholders in Korean domestic listed companies, and examines whether a higher proportion of foreign ownership improves a company’s labor investment efficiency.
[Methodology] The analysis is based on Korean listed firms over the period from 2014 to 2022.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is measured by the abnormal rate of change in employee hiring, following prior studies. In other words, it is captured as the residual deviation of the actual employee hiring rate from its expected level. To test the hypothesis, the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measure i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foreign investor shareholding serves as the key explanatory variable.
[Findings] The analysis reveals a significant and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foreign ownership and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This indicates that as foreign investors’ stake increases, inefficiencies in labor investment tend to decrease. The findings remain consistent across models that control for potential omitted variable biases by including firm-fixed effects and entropy balancing. Furthermore, when labor investment inefficiency is categorized into over-investment and under-investment, the study finds that higher foreign ownership reduces both types of inefficiencies. This relationship is most pronounced in companies with high-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This suggests that transparent and reliable financial reporting enhances the ability of foreign investors to monitor and influence corporate decisions effectively.
[Implications] This study makes both practical and academic contribution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foreign investors in improving labor resource allocation within companies. Academically, it extends the understanding of how foreign investors influence management decision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labor investment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nterplay between investor monitoring and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in driving corporate efficienc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 설정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신외부감사법 시행에 따른 외부감사 실시, 수익성 및 회계정보의 품질에 관한 효과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기업수명주기별 연구개발투자와 배당정책
- 외국인 투자자의 효과 : 노동투자의 효율성을 이용한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