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arnings Downside Risk and Tax Avoidance
- 발행기관
- 한국세무학회
- 저자명
- 이혜미(Hyemi Lee)
- 간행물 정보
- 『세무학연구』제42권 제3호, 81~11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기조세회피 결정은 일반적으로 번복하기 어렵고, 비조세비용의 크기나 최종적인 법인세절감액의크기도 여러 기간이 경과되고 나서야 확정되는 불확실성 하의 위험투자안 성격을 갖는 정책결정 사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불확실성 하의 위험투자안을 선택하는 장기조세회피 의사결정이 기업의이익창출과정에서 나타나는 기본적 위험인 이익하방위험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201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법인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이익하방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장기조세회피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익하방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미래영업성과 수준이 약화되고 변동성이 증가하므로 장기조세회피 의사결정의 효익·비용의 명확한 추정이 어렵고, 조세회피로 창출될미래현금흐름의 기대순현재가치의 불확실성이 높아져서 조세회피 수준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추가분석을 통하여 이익하방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세무계획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기업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를 확인함으로써 가설 검증 결과와 일관된 분석결과를 얻었다. 강건성 분석에서는 재무적 제약, 다양한 미래수익성 예측변수, 거시경제불확실성, 외부환경불확실성 등의 변수를 연구모형에 추가하거나 1차차분모형을 사용하여도 가설 검증 결과는 유지되었다. 내생성및 변수들 간의 동태적 피드백 효과를 통제하기 위하여 동태적 패널모형에 시스템 GMM방법의 분석을 수행하여도 동일한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이익하방위험이 조세회피 순현재가치에 영향을미치는 새로운 결정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는데 공헌점이 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외부환경에서의 불확실성과 조세회피 간의 관계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개별 기업의 기본적 위험인 이익하방위험에 초점을 맞추어 장기조세회피 의사결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차별된다.
영문 초록
Long-run tax avoidance decisions are generally difficult to reverse and entail choices that resemble risky investments under uncertainty, as the magnitude of non-tax costs and the final tax outcomes are only confirmed after several periods have pass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run tax avoidance decisions and earnings downside risk, which reflects the uncertainty in the corporate earnings generation proces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on-financial firms with December fiscal year-end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over the period from 2011 to 2023.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rms with higher earnings downside risk tend to engage less in long-run tax avoidance. This finding suggests that for firms facing high earnings downside risk, weaker future operating performance and increased volatility heighten the uncertainty surrounding both the estimated costs and benefits of tax avoidance and the expected net present value of future cash flows generated through such strategies. Further analyses provide additional empirical support for the hypothesis, showing that firms with greater earnings downside risk exhibit lower tax planning efficiency and experience negative impacts on firm value. The robustness of the results is confirmed by incorporating various additional factors into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financial constraint variables, alternative future profitability proxies, macroeconomic uncertainty, and external environmental uncertainty. Even when applying a first-difference model or using the system GMM estimator to control for endogeneity and dynamic feedback effects among variables, the main findings remain consist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earnings downside risk as a novel determinant of the net present value of tax avoidance. Unlike prior research, which primarily focused on external uncertainty in the economic environment,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by analyzing the impact of firm-specific fundamental uncertainty on lon-run tax avoidance decision-making.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와 가설도출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