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가정 경계관리 프로필 도출 및 갈등·이직의도에 대한 영향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Work Family Boundary Management Profiles and Their Impact on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s
발행기관
대한리더십학회
저자명
부티탄휀(Vu Thi Thanh Huyen) 채희선(Heesun Chae) 김영조(Young-Joe Kim)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6권 제3호, 189~22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들이 일과 가정 간의 경계를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서 경계관리 프로필을 도출하고, 이들 프로필이 인구통계 변수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일-가정 갈등과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한국과 베트남 직장인들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59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일과 가정의 경계를 분리 또는 통합하는 정도, 그리고 일 역할과 가정 역할을 중시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가지 유형의 경계관리 프로필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1) 일과 가정 역할을 똑같이 중시하며, 분리와 통합 전략을 모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일과 가정의 두 줄 타기 곡예사,’ (2) 일 역할을 가정 역할보다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며, 분리와 통합 전략도 꽤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일 중심의 높은 수준 경계관리자,’ (3) 일과 가정 역할 모두 중간 정도로 중시하며, 분리와 통합 전략도 중간 수준에서 수행하는 ‘일과 가정의 중도주의자’, 그리 고 (4) 가정 역할을 등한시하고 일 역할에만 중점을 두며, 분리와 통합의 경계관리에도 소극적인 ‘일 지배형의 낮은 수준 경계관리자’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둘째, 인구통계 변수와 경계관리 프로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혼인 여부만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성별, 연령대, 직급과 국적 등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경계관리 프로필에 따라 일-가정 갈등과 이직의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일과 가정의 두 줄 타기 곡예사’ 유형의 응답자들은 ‘일 지배형의 낮은 수준 경계관리자’보다 일-가정 갈등과 이직의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일 중심의 높은 수준 경계관리자’와 ‘일과 가정의 중도주의자’는 중간 수준의 일-가정 갈등과 이직의도 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조직과 개인 차원에서 일과 가정의 균형을 촉진하는 데 주는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employees manage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family, identify distinct boundary management profiles, and analyze how these profiles diffe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how they relate to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in South Korea and Vietnam, yielding 259 valid responses for analysis. First,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our criteria: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of the work and family domains, and centrality of work and family roles. As a result, four distinct boundary management profiles were identified: (1) Work-Family Juggling Experts, who place high value on both work and family roles equally and actively engage in both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strategies; (2) Active Boundary Managers with a Work Focus, who prioritize the work role over the family role while also actively engaging in both segmentation and integration strategies; (3) Mid-Range Compromisers, who place moderate value on both roles and engage at a moderate level in both boundary management strategies; (4) Work-Overwhelmed Passive Boundary Managers, who are primarily dominated by work demands and place low value on the family role while showing minimal engagement in boundary management effor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boundary management profiles showed that marital status was the only variabl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files, whereas gender, age, job position, and nationality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found across the profiles. Work-Family Juggling Exper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an Work-Overwhelmed Passive Boundary Managers. Active Boundary Managers with a Work Focus and Mid-Range Compromisers reported moderate levels of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regarding work-family balan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부티탄휀(Vu Thi Thanh Huyen),채희선(Heesun Chae),김영조(Young-Joe Kim). (2025).일-가정 경계관리 프로필 도출 및 갈등·이직의도에 대한 영향 분석. 리더십연구, 16 (3), 189-224

MLA

부티탄휀(Vu Thi Thanh Huyen),채희선(Heesun Chae),김영조(Young-Joe Kim). "일-가정 경계관리 프로필 도출 및 갈등·이직의도에 대한 영향 분석." 리더십연구, 16.3(2025): 189-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