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양한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이용수  19

영문명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Impact of Diverse Leadership Styles on Innovative Behavior: Evidence from Korean Empirical Studies
발행기관
대한리더십학회
저자명
박소은(Soeun Park) 박지원(Jiwon Park)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6권 제3호, 47~87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간 국내의 연구자들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를 활발히 진행해 왔으며, 그중에서도 리더십의 역할은 주요한 관심 대상이었다. 하지만 개별 연구들은 특정 리더십의 효과 유무와 효과 크기를 단편적으로 제시하는 데에 그쳐, 어떤 리더십 이 보다 효과적인지, 리더십 전체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에 대한 종합적 논의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리더십 유형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리더십의 효과 크기(r)를 통계적으로 비교하고, 효과 수준에 따라 리더십을 유형화함으로써 새로운 이론적 통찰과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관한 222개의 문헌을 선별하였 고, 총 256개의 리더십 효과 크기값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셀프 리더십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임파워링 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코칭 리더십의 순위가 높았다. 감성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이슈 리더십, 공감 리더십, 진성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은 중간 크기로 분류되었 고, 윤리적 리더십, 변화지향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은 상대적으로 효과 크기가 작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Korean researchers have actively conducted empirical studies on the factors that promote innovative behavior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with particular attention given to the role of leadership. However, individual studies have often presented fragmented findings limited to the presence or the size of the effect of a particular leadership style.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rehensive study on which types of leadership are more effective—and how leadership, as a whole, influences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mplements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different leadership styles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domestic literature. Specifically, we statistically compare the effect sizes (r) of various leadership types and present a categorization of leadership types based on their effectiveness levels, offering new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guidance. A total of 222 relevant studies were reviewed, yielding 256 effect sizes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elf-leadership had the stronges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ollowed by empowering leadership, inclusive leadership, and coaching leadership. Emo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issue leadership, empathic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classified as having medium-level effects. Ethical leadership, change-oriented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demonstrated relatively smaller effec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은(Soeun Park),박지원(Jiwon Park). (2025).다양한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6 (3), 47-87

MLA

박소은(Soeun Park),박지원(Jiwon Park). "다양한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문헌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6.3(2025): 47-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