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미치는 경로 탐색: 직렬이중매개효과와 fsQCA 분석

이용수  17

영문명
Exploring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Digital Leadership Reduces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 Sequential Mediation and fsQCA Analysis
발행기관
대한리더십학회
저자명
천량위(Liang-yu Chen) 진춘화(Chunhua Jin)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6권 제3호, 3~46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기업의 조직 관리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 며, 이에 따라 리더십과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새로운 도전과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혁신의 핵심 동력은 기술 자체가 아니라 조직 구성원이며, 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 는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조직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제고할 것인가는 깊이 있는 연구가치를 지닌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감정사건이론(Affective Events Theory)을 이론적 바탕으로, 디지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 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업무 환경에서 양자 간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주관적 행복감과 직장 외로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IT 기업에 종사하는 조직 구성원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디지털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행복감과 직장 외로움은 이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직렬이중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fsQCA) 을 통해 높은 수준의 조직 구성원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세 가지 선행 조건 구성 형태, 즉 ‘체계적 지원 결핍 패턴’, ‘정서적 탈진 패턴’, ‘관계 단절 패턴’을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이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유의미한 이론적 틀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is fundamentally transform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practices, thereby posing new challenges and demands on leadership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However, the core driver of digital innovation lies not in the technology itself, but in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s such, how companies manage employees’ psychological states effe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thereby enhancing organizational stability and sustainability—emerges as a critical issue with significant research value. This study, grounded in Affective Events Theor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digital leadership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Simultaneously, it seeks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workplace loneliness in this relationship within the context of digitally transforming work environm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93 employees working in IT companies in China, where digitalization is progressing rapidl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digital leadership has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at subjective well-being and workplace loneliness serve as partial mediators and sequential double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Additionally, a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identified and analyzed three causal configurations that lead to high turnover intention among employees: the “Systemic Support Deficiency Pattern,” the “Emotional Exhaustion Pattern,” and the “Relational Disconnection Patter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a meaningful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re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in digit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량위(Liang-yu Chen),진춘화(Chunhua Jin). (2025).디지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미치는 경로 탐색: 직렬이중매개효과와 fsQCA 분석. 리더십연구, 16 (3), 3-46

MLA

천량위(Liang-yu Chen),진춘화(Chunhua Jin). "디지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미치는 경로 탐색: 직렬이중매개효과와 fsQCA 분석." 리더십연구, 16.3(2025): 3-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