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 MZ세대 직장인들의 조용한 사직: 조직공정성, 고용불안, 일-삶의 균형과 발언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용수  48

영문명
The Quiet Quitting of MZ generation Employees: Focusing on Role of Organizational Justice, Job Insecurity, Work-Life Balance and Voice Behavior
발행기관
대한리더십학회
저자명
조윤형(Yoon-hyung Cho)
간행물 정보
『리더십연구』제16권 제3호, 153~18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MZ세대 직장인들의 조용한 사직에 초점을 두고 조용한 사직의 선행변수들을 살펴보았으며 조용한 사직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 결과변수들도 살펴보았다. 선행변수로는 조직공정성(분배, 절차, 상호작용)과 고용불안을 반영하였으며, 결과 변수로는 일-삶의 균형(일-가족, 일-여가, 일-성장)과 발언행동(촉진적, 차단적)을 반영하였다. 선행변수, 결과변수 모두 하위변수들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하위변수들이 조용한 사직에 어떠한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조용한 사직이 어떠한 결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확장을 모색하였다. 관련 문헌연구들을 통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가설의 검증은 설문 을 활용하였다. 표본은 광주 및 전남지역 50개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MZ세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은 2차례 진행하였다. 1차 설문에 는 조직공정성, 고용불안을 응답하도록 하였고 2차 설문에는 조용한 사직, 일-삶의 균형, 발언행 동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2차례 진행에 따라 동일인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 고 최종분석에는 총 313부의 설문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 성, 상호작용 공정성은 조용한 사직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절차공정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고용불안은 조용한 사직을 높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조용한 사직은 일-삶의 균형 중 일-가족, 일-여가 균형을 높이고 있었다. 또한 조용한 사직은 발언행동인 촉진적 발언행 동, 차단적 발언행동을 낮추고 있었다. 연구가설로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으로 선행변수 로 설정한 조직공정성, 고용불안과 결과변수로 설정한 일-삶의 균형,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용한 사직의 매개역할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조용한 사직에 대한 선행변수 규명 차원에서 조직공정성의 역할 및 고용불안의 역할을 살펴보았으며, 조용한 사직 의 결과변수 규명차원에서 일-삶의 균형, 발언행동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의의 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s of quiet quitting and consequences of quiet quitting which focused on MZ generation employees working in companies. The antecedent variables of quiet quitting included organizational justice(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and job insecurity. The result variables of quiet quitting included work-life balance(work-family, work-leisure, work-growth) and voice behavior(promotive, prohibitive). Both the antecedents and results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sub-factors to expand the study by examining how sub-factors influence quiet quitting and what the results of quiet quitting.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questionnaires. The sample was comprised of MZ generation employees working in 50 companies in Gwangju/Jeonnam.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solve the common method bias. The first time questionnaires asked employees to respond to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insecurity, and the second time questionnaires asked employees to respond to quiet quitting, work-life balance, and voice behavior.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first, organizational justice, such as distributive and interactional justice decreased quiet quitting.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Second, job insecurity increased quiet quitting. Third, quiet quitting increased work-family and work-leisure balance. Finally, quiet quitting decreased promotive and prohibitive voice. Although not hypothesized, we further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quiet quitt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job insecurity and work-life balance, and voice behavi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have theoretical and implemental contribution which examin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insecurity as antecedents of quiet quitting, and considered work-life balance and voice behaviors as outcome variables of quiet quitt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형(Yoon-hyung Cho). (2025).기업 MZ세대 직장인들의 조용한 사직: 조직공정성, 고용불안, 일-삶의 균형과 발언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6 (3), 153-188

MLA

조윤형(Yoon-hyung Cho). "기업 MZ세대 직장인들의 조용한 사직: 조직공정성, 고용불안, 일-삶의 균형과 발언행동의 역할을 중심으로." 리더십연구, 16.3(2025): 153-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