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Style-Specific Linguistic Features in AI-generated Texts: The Case of editGPT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Seongshik Kim Hyomi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4권 3호, 19~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tylistic capabilities of editGPT, an AI-powered text editing tool, by examining how it transforms identical source texts into four distinct registers: academic, formal, casual, and speech. Drawing on a specialized corpus derived from the ICIC Fundraising Discourse dataset, the research investigates style-specific linguistic features using both lexical and syntactic metrics. Lexical features analyzed include overused words, nominalizations, and measures of lexical complexity, such as density, sophistication, and variation. Syntactic analyses address parts of speech distribution, passive constructions, and complexity indices, such as clause embedding and sentence length.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ANOVA and post-hoc tests, confirm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styles, aligning with genre conventions while also yielding unexpected patterns, such as high nominal complexity in casual texts. The study highlights how editGPT operationalizes stylistic norms by modifying lexical choices and structural features without altering semantic content. Findings suggest that AI-generated texts can effectively model stylistic variation, making them valuable resources for teaching stylistic awareness i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advances understanding of AI’s role in language learning and stylistics,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yle-sensitive writing instruction in EFL context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BACKGROUNDS
III. CORPORA AND TOOLS
IV. RESULTS &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irect vs. Reformulation Feedback through ChatGPT on EFL Learners’ Writings
- A Comparative Analysis of Style-Specific Linguistic Features in AI-generated Texts: The Case of editGPT
- The Effect of Elaborated-modified Input on Learning Multi-word Units among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 그림책 기반 초등영어 수업에서 문제해결력 함양 과정에 관한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과정 중심 영어 글쓰기에 미치는 ChatGPT 피드백의 영향
- 영화 담화분석을 통한 통합언어학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 AI 앱 기반 영어 어휘 학습 활동이 대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상상대로: 바이브 코딩을 활용한 영어 교육용 앱 개발
- 트랜스랭귀징 관점에서 바라본 한글과 영어의 공존: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언어 경관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