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가족부의 성평등가족부로의 변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헌법 및 국제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n the Change of the Ministry of Women and Family to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 Focusing on constitutional and international legal issues
발행기관
한국교회법학회
저자명
전윤성(Daniel Yunseong Chun)
간행물 정보
『교회와 법』12권 1호, 238~275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헌법은 행정조직법정주의를 규정하고 있지만, 행정조직법정주의가 행정각부의 설치와 조직 등에 관하여 법률의 형식에 의하기만 하면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행정조직법정주의에도 헌법적 한계가 있고, 이는 행정각부의 목적과 기능이 헌법에 적합해야 하고, 모든 권한이 기본권적 가치 실현을 위하여 행사되도록 제도화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성평등가족부는 그 목적과 기능이 헌법에 적합하지 않다. 현행 헌법은 제11조 제1항 등에서 생물학적 성(sex)에 따른 남녀성별이분법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성평등 정책은 이와 달리 남녀 이외의 제3의 성(gender)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 헌법은 제36조 제1항에서 양성평등에 기초한 혼인·가족제도를 명시하여, 1남 1녀의 혼인에 근거한 가족제도를 보장하고 있는데 반해, 성평등 정책은 동성 간 결합과 동성혼의 제도화를 지지하고 추진한다는 점에서 헌법이념에 위배된다. 나아가 성평등가족부의 설치는 성별(sex)의 해체와 혼인·가족제도의 해체를 추구하는 성평등의 제도적 구현으로서, 객관적 법질서의 유지를 통한 공동선의 실현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기본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권한 행사의 제도화로 볼 수 없다. 이처럼 행정조직법정주의의 헌법적 한계를 벗어난 성평등가족부의 설치 및 성평등 정책의 실시는 헌법에 위배된다. 2024년 스리랑카 대법원이 「성평등법안」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린 이유를 직시하여야 한다. 한편, 생물학적 성인 sex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하고 남녀의 평등권 보장이 담긴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에는 gender라는 용어가 없다. 여성에 대한 역차별을 초래할 성평등가족부의 설치 및 성평등 정책의 실시는 한국의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상의 의무 이행과 양립할 수 없다는 점에서 국제법 위반이 문제 된다. 우리나라가 가입, 비준한 국제인권조약에도 gender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있지 않은데, 법문에 사용된 ‘sex’라는 용어를 ‘gender’의 의미로 해석하거나, ‘gender’로 무단 변경하는 것은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위반이다. 나아가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만 여성”이라고 선언한 2025년 영국 대법원의 For Women Scotland Ltd v. The Scottish Ministers 판결은 성평등(젠더평등) 정책이 국제관습법이나 새로운 국제법(국제인권법)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가 된다. 헌법과 국제법에 위배되는 성평등가족부의 설치 추진은 전면적인 철회가 요구되는 사안이다.

영문 초록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e statutoryism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establishment, organization, and scope of duties of each administrative department must be determined only in the form of statute. In other words, there are constitutional limitations to the statutoryism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e purpose and function of each administrative department must be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and all powers must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they can be exercised to realize fundamental rights values. However,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re not in line with the Constitution of Korea. It is because the current Constitution of Korea adopts a binary sex system based on biological sex in Article 11, Paragraph 1, etc., but the gender equality policy recognizes a third gender other than men and women. In addition, while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a family system based on the marriage of one man and one woman by specifying marriage and family system of the equality of the sexes in Article 36, Paragraph 1, the gender equality policy supports and promotes same-sex union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which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al ideology. Furthermor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cannot be seen as a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xercise of authority for the realization of fundamental rights values, as it is an institutional implementation of gender equality that seeks to dismantle the biological sex system and the marriage and family system, and it hinders the realization of the common good through the maintenance of an objective legal order. In this way,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implementation of gender equality policies, which go beyond the constitutional limits of the statutoryism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re unconstitutional. We must face the reason why the Supreme Court of Sri Lanka held the “Gender Equality Bill” unconstitutional in 2024. Meanwhile,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UN CEDAW”), which prohibits discrimination based on biological sex and guarantees equal rights for men and women, does not include the term “gender.”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implementation of gender equality policies, which would result in revers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violate international law as they are incompatible with Korea's fulfillment of its obligations under the UN CEDAW. The term “gender” is not used in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at Korea has acceded to or ratified. Therefore, interpreting the term “sex” used in the legal text to mean “gender” or changing it to “gender” without amending the treaties is a violation of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Furthermore, the 2025 judgment of the UK Supreme Court in For Women Scotland Ltd v. The Scottish Ministers, which declared that “only a person born female is a woman,” is important evidence that gender equality policies have not achieved the status of international customary law or new international law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Pushing ahead for establishing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violates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international law, must be completely withdraw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행정조직법정주의의 헌법적 한계
Ⅲ. 여성가족부의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개편의 위헌성
Ⅳ. 성평등 정책과 국제법 위반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윤성(Daniel Yunseong Chun). (2025).여성가족부의 성평등가족부로의 변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헌법 및 국제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교회와 법, 12 (1), 238-275

MLA

전윤성(Daniel Yunseong Chun). "여성가족부의 성평등가족부로의 변경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헌법 및 국제법적 쟁점을 중심으로." 교회와 법, 12.1(2025): 238-2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