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트윈국토 품질 표준에 기반한 CityGML 데이터의 기하와 위상 품질 평가 및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ssessment and Analysis of the Geometric and Topological Quality of CityGML Data based on the National Digital Twin Quality Standard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김병선(Byeong S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제41권 제2호, 47~6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 트윈국토 품질 표준에서 정의한 품질 항목에 기초하여 국내외에서 제작한 CityGML 데이터의 위상과 기하 품질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하와 위상 측면에서 CityGML 데이터 모델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품질 평가의 기준이 되는 디지털 트윈국토 품질 표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어, 국내에서 제작된 세밀도 1과 2 수준의 건물 데이터에 대한 기하와 위상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 발생 원인과 문제점 그리고 GML 인코딩 수준에서의 수정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일본, 독일, 핀란드에서 제작한 세밀도1, 2 수준의 건물 데이터 세트를 수집하여 기하와 위상 오류를 파악하고 오류의 발생 경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CityGML 데이터의 기하와 위상 오류의 발생 원인을 작업자의 표준에 대한 이해 부족과 3차원 공간정보 제작 도구의 부재, 응용을 고려하지 않은 데이터 구축 등으로 구분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품질 평가 방법과 개선방안 등은 국내에서 제작하는 다양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품질 확보와 관련 정책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nd analyze the geometric and topological quality of CityGML datasets produc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ased on the quality items defined in the National Digital Twin Standard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GML data model from geometric and topological perspectives, and analyzes the national standards that serve as the basis for quality assessment. It then detects geometric and topological errors in Level of Detail(LoD) 1 and 2 building datasets produced in Korea, and investigates the causes of these errors, their implications, and possible correction methods at the GML encoding level. In addition, LoD1 and LoD2 building datasets from Japan, Germany, and Finland are collected to identify geometric and topological errors and analyze the trends in their occurrence. Finally, the causes of these errors in CityGML datasets ar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standards by data producers, the lack of specialized tools for 3D spatial data production, and the creation of data without consideration for downstream ap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s key issues and proposes practical solutions. The quality assessment methods and improvement strategie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suring the quality of various digital twin datasets produced in Korea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national policies.

목차

1. 서 론
2. CityGML 데이터의 기하-위상 구조와 품질
3. CityGML 데이터의 기하와 위상 품질 분석
4. 국외 데이터에 대한 기하-위상 오류 분석
5. 논 의
6.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선(Byeong Sun Kim). (2025).디지털 트윈국토 품질 표준에 기반한 CityGML 데이터의 기하와 위상 품질 평가 및 분석. 한국지적학회지, 41 (2), 47-62

MLA

김병선(Byeong Sun Kim). "디지털 트윈국토 품질 표준에 기반한 CityGML 데이터의 기하와 위상 품질 평가 및 분석." 한국지적학회지, 41.2(2025): 47-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