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Undergraduate Mathematics Department Curricula at the Top 50 U.S. Universitie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문성환(Sunghwan Moon) 이세형(Sehyung Lee) 박소연(Soyeon Park)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3호, 863~8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교육 및 수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미국 U.S. News National Universities Rankings 상위 50개 대학의 수학과 학부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각 대학의 전공 과목(군) 구성, 학점 배정, 학년별 분포, 교육과정의 특성을 정량적·정성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미국대학들은 기초수학 과목에 높은 학점 비중(약 32%)을 배정하여 학습 격차를 해소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은 세미나 및 연구 중심 과목을 다수 편성하여 학부 단계부터 탐구 기반 학습과 학술적 의사소통 역량을 적극적으로 강화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산업수학과 통계 관련 과목군을 전통적인 이론 수학 과목과 유사한 수준으로 편성하여 실용수학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국내대학 수학교육의 개편 및 융합적 교육과정 설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수준 차를 고려한 기초수학 지원 체계, 탐구 기반 수업모형, 산업 연계형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undergraduate mathematics curricula of the top 50 universities ranked by U.S. New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higher education and mathematics instructio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ourse structures, credit distributions, and year-level distributions, the study identifies key patterns and trends in curricular design. The results indicate that U.S. universities allocate approximately 32% of total mathematics credits to foundational courses such as calculus and linear algebra, aiming to address learning gaps and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Several universities offer seminar and research-based courses to foster inquiry-oriented learning and academic communi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Additionally, industrial mathematics and statistics courses were structured on a scale comparable to that of traditional theoretical mathematic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actical mathematical competence. These findings offer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restructuring of mathematics curricula in domestic universiti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differentiated foundational support, exploratory learning models, and industry-linked course 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5권 3호 목차
-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Numeracy: A Case Study on Nutritional Label Analysis i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 Math, Media, and Machines: How Mexican Newspapers Portray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 Co-designing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ChatGPT: Exploring Mathematics Teacher Pedagogical Expertise in Culturally Responsive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 Touch Together: Open-Ended Design of TouchCounts Shapes Parent―Child Affective Engagement in Family Mathematics
- Navigating the Digital Terrain: Innovations and Insights in Mathematics Education
- 분수의 곱셈 오류에 대한 생성형 AI의 진단 및 피드백 역량 분석: ChatGPT, Gemini, DeepSeek를 중심으로
- Prospective Teachers' Use of AI to Develop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A Tool is Only as Good as Its User
- From Skepticism to Integration: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Perspectives and Practices of Using AI Technologies
- Develop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Lived Experiences and Math Classes
- Enhancing Spatial Reasoning in Geometry: The Role of Cooperative Learning Assisted by the GeoGebra Applet
-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Mathematical Definitions in AI-Mediated Conversations
- Cultivating Online Instructional Competencies: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Learning to Teach Reasoning and Proof with Digital Technology
-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Practice-Based Experiences for Teaching with Online Digital Technologies
- AI 및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수학 교수·학습 모형 탐색
- Mathematical Meaning-Making of the Volume of a Sphere in an Augmented Paper-Based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rom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A Gesture-Centered Analysis
- 중학생의 통계적 소양 진단을 위한 축약형 평가 도구 개발
- Mathematical Modelling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ractices
- 미국 상위 50개 대학 수학과의 학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분석
- 고등학생의 공학 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 활동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 호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과제의 비구조성 비교 연구: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수학적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대응과 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