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Generative AI's Diagnostic and Feedback Capabilities Regarding Fraction Multiplication Errors: Focusing on ChatGPT, Gemini, and DeepSeek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성환(Sunghwan Hwang) 이지은(Ji-Eun Lee) 은혜 플라빈(Eunhye Flavin) 강윤지(Yunji Ka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3호, 467~4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AI의 수학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분수의 곱셈’ 영역에서 생성형 AI의 오류 진단 및 피드백 제공 능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수의 곱셈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계산형 오류와 문장제 오류로 분류하고, ChatGPT-4, Gemini-2.0 Flash, DeepSeek-R1에 동일한 프롬프트와 오류 유형을 입력하여 각 모델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세 종류의 생성형 AI는 전반적으로 복합적이고 일관되지 않은 오류 진단 양상을 보였다. 계산형 오류의 경우, 세 모델 모두 낮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으며, 모델 간 성능 차이는 크지 않았다. 반면 문장제 오류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단 정확도를 보였고, AI 모델 간 역량 차이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피드백 제공 측면에서도 문장제 오류에 대한 피드백이 계산형 오류보다 더 적절하고 구체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AI 모델의 유형별 강점과 약점이 교수적 맥락에 따라 구분되는 양상을 보이며, AI의 교육적 성공은 기술의 도입 자체가 아닌 그것을 선별하고 지도하는 교사의 전문적 역량에 달려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by analyzing its ability to diagnose student errors in solving fraction multiplication problems and provide feedback. Drawing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first categorized errors in fraction multiplication into computational errors and word problem errors. Prompts reflecting these error types were input into three generative AI models—ChatGPT-4, Gemini-2.0 Flash, DeepSeek-R1—and the responses from each model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 generative AI models exhibited complex and inconsistent patterns in error diagnosis overall. In the case of computational errors, all three models demonstrated low diagnostic accuracy, with minimal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models. In contrast, for word problem errors, the models showed relatively high diagnostic accuracy, and clear differences in capabilities were observed among the models. In terms of the feedback, the feedback for word problem errors was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and specific than that for computational errors. This suggests th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I models vary depending on the instructional context, and that the educational success of AI depends not on the adoption of the technology itself, but on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teachers who select and guide its us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교육학연구 제35권 3호 목차
- Integr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Health Numeracy: A Case Study on Nutritional Label Analysis i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 Math, Media, and Machines: How Mexican Newspapers Portray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 Co-designing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ChatGPT: Exploring Mathematics Teacher Pedagogical Expertise in Culturally Responsive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 Touch Together: Open-Ended Design of TouchCounts Shapes Parent―Child Affective Engagement in Family Mathematics
- Navigating the Digital Terrain: Innovations and Insights in Mathematics Education
- 분수의 곱셈 오류에 대한 생성형 AI의 진단 및 피드백 역량 분석: ChatGPT, Gemini, DeepSeek를 중심으로
- Prospective Teachers' Use of AI to Develop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A Tool is Only as Good as Its User
- From Skepticism to Integration: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Perspectives and Practices of Using AI Technologies
- Develop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ir Lived Experiences and Math Classes
- Enhancing Spatial Reasoning in Geometry: The Role of Cooperative Learning Assisted by the GeoGebra Applet
-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ment of Mathematical Definitions in AI-Mediated Conversations
- Cultivating Online Instructional Competencies: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Learning to Teach Reasoning and Proof with Digital Technology
-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Practice-Based Experiences for Teaching with Online Digital Technologies
- AI 및 에듀테크를 활용한 초등수학 교수·학습 모형 탐색
- Mathematical Meaning-Making of the Volume of a Sphere in an Augmented Paper-Based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rom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A Gesture-Centered Analysis
- 중학생의 통계적 소양 진단을 위한 축약형 평가 도구 개발
- Mathematical Modelling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ractices
- 미국 상위 50개 대학 수학과의 학부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분석
- 고등학생의 공학 도구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 활동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 호주, 미국 초등 수학 교과서 과제의 비구조성 비교 연구: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수학적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대응과 학생의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