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UTAUT의 기술수용요인이 생성형 AI 사용의도와 이용행태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UTAUT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of Generative AI: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강상훈(Sanghoon Kang) 이인석(Insuk Lee)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제33권 제3호, 89~12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조직에서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자동화를 넘어 일의 방식을 전환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부상했다. 그러나 높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생성형 AI가 조직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UTAUT의 기술수용 요인이 사용의도·이용행태를 통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변혁적 리더십이 각 경로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체계적으로 검토한다. 이는 학계와 실무 모두에 여전히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는 UTAUT의 네 변인(성능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이 생성형 AI 수용 과정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 연구모형을 SmartPLS의 부분최소자승 구조방정식(PLS-SEM)으로 검정한 결과, 성능기대와 노력기대는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사회적 영향과 촉진조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해당 기술이 아직 조직 전체에 충분히 확산되지 않아 외부 기대나 제도적 지원이 구성원의 실제 행동까지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실제 업무에서의 활용도가 높을수록 혁신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변혁적 리더십이 강한 조직에서 이 효과는 더욱 뚜렷했으며, 리더십은 노력기대와 사용의도 사이, 사용의도와 이용행태 사이, 이용행태와 혁신행동 사이의 전 단계에서 일관된 조절변수로 작용했다. 결과적으로, UTAUT 일부 변인은 사용의도·이용행태·혁신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고, 리더십은 기술수용 과정 전반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인다. 한편 실무적으로는 구성원 기대의 체계적 관리와 적확한 리더십 역량 강화가 기술 활용도를 높이고 혁신성과를 극대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Generative AI has recently emerged as a core technology that goes beyond automation by transforming work processes and enhancing productivity. However, empirical research on how Generative AI affect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remains limite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of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UTAUT) influence Innovative Behavior through Behavioral Intention and Use Behavior, and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derates each path. The study highlights the roles of the four core UTAUT variables -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 in Generative AI acceptance.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 SEM via SmartPLS,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while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are not significant. This implies Generative AI has not yet fully diffused in organizations, so external expectations or institutional support have limited influence on actual behavior. Greater Use Behavior leads to significantly higher Innovative Behavior, and this relationship becomes stronger und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moderates Effort Expectancy to Behavioral Intention, Behavioral Intention to Use Behavior, and Use Behavior to Innovative Behavior. In conclusion, specific UTAUT variables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Use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whil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ts a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across the adoption process. Practically, managing employee expectations and enhancing leadership capabilities can increase technology utilization and maximize innovation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기존문헌 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수립
Ⅳ. 연구방법
Ⅴ. 분석 및 결과
Ⅵ.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상훈(Sanghoon Kang),이인석(Insuk Lee). (2025).UTAUT의 기술수용요인이 생성형 AI 사용의도와 이용행태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33 (3), 89-123

MLA

강상훈(Sanghoon Kang),이인석(Insuk Lee). "UTAUT의 기술수용요인이 생성형 AI 사용의도와 이용행태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33.3(2025): 8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