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터혁신의 성공요인 탐색: 다중사례분석 기반의 질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Workplace Innovation: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Multiple Case Study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나동만(Dongman Na) 이주일(Juil Lee) 김상준(Sang-Joon Kim)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제33권 제3호, 1~4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13개 기업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생산성 향상과 근로생활의 질 제고라는 상충된 목표가 공존하는 ‘일터혁신’의 패러독스를 중점적으로 탐구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일터혁신의 긍정적 효과 또는 일터 혁신 제도의 도입 효과에 치우쳐 있었으나, 본 연구는 구체적인 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직 내 긴장(패러독스)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다중사례분석 기반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일터혁신의 양태를 보이는 13개 기업을 선별하고,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 및 보완적 서면조사를 통해서 각 기업별로 일터혁신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각 기업별 일터혁신 과정, 참여 구조, 성과 차별점 등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여, 일터혁신이 조직 내에서 실제로 어떠한 변화와 도전을 유발하는지 다층적으로 살폈다. 연구결과, 생산성 향상만을 일방적으로 추구할 경우 직원의 웰빙 및 직무만족도 저하, 이직률 증가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며, 반대로 근로생활의 질 개선을 중점적으로 강조하는 경우에도 생산성 달성의 한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일터혁신의 패러독스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자율성과 적극적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내는가가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은 일터혁신의 과정에서 근로자 주도의 혁신 구조를 만들고, 업무 재량권을 통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화적 토대를 만들 필요가 있으며, 이와 더불어 조직 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리더의 전폭적 지원은 물론 변화관리자 제도를 통해 지속적 소통과 피드백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일터혁신의 형식적 도입과 실질적 실행 간의 간극을 메우는 실천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적 시스템과 인간 주체성 간의 상호작용을 조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일터혁신 문헌에 기여하고 장기적·효과적 혁신을 모색하는 조직에 실질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adox of workplace innovation, wherein two inherently competing objectives, productivity enhancement and quality of working life (QWL), must be pursued simultaneously. While prior research has largely focused on how workplace innovation can be designed and formulated, this study shifts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al tensions that emerge during implementation. To elucidate these paradoxical dynamics, we conducted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of 13 Korean firms across diverse industri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supplemented by written surveys, covering six thematic areas: innovation background and goals, specific initiatives, change management, impacts, feedback and refinement, and future plan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revealed that prioritizing productivity alone often undermines employee well-being, satisfaction, and retention, whereas an exclusive emphasis on QWL can constrain productivity gains. Successful resolution of this paradox requires fostering employee autonomy and active participation. Key practices include establishing employee- led innovation mechanisms, granting discretion for problem-solving, ensuring visible leadership commitment, appointing dedicated change agents, and maintaining open, ongoing communication and feedback loops. By foregrounding the interplay between technological systems and human agency, this study advances understanding of sustainable workplace innovation. The findings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developing integrated change strategies that reconcile competing organizational goals, bridge the gap between formal adoption and effective execution, and sustain meaningful innovation over the long ter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동만(Dongman Na),이주일(Juil Lee),김상준(Sang-Joon Kim). (2025).일터혁신의 성공요인 탐색: 다중사례분석 기반의 질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33 (3), 1-44

MLA

나동만(Dongman Na),이주일(Juil Lee),김상준(Sang-Joon Kim). "일터혁신의 성공요인 탐색: 다중사례분석 기반의 질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33.3(2025): 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